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협력전공, 2023. 8. 유성상.오늘날 글로벌 의제는 각국의 정치인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정책 의제 설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정책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의제에 국가 정책을 일치 또는 연계시키려는 노력들이 자주 목격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글로벌 의제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합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선 도입한 후 자국의 상황, 맥락에 맞춰 재해석하고 적용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글로벌 의제는 종종 '빈 용기 (empty vessels)'로 표현되기도 한다 (DeRoche, 2013). 한편, 타국의 정책을 국내 정책으로 차용하는 데 여러 배경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국가를 개도국이라고 가정한다면, 단순하게 외부의 '모범 사례 (best practices)'를 배울 목적으로 또는 의사결정권이나 협상력 부족으로 인한 일방적인 강요 또는 제약 하에 해당 정책을 수용하게 될 것이라 섣불리 판단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 국가의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국제기구의 글로벌 의제를 도입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 1, 6, 7학년을 시작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연계하여 개정한 국가 교육과정을 도입한 방글라데시의 사례를 통해 글로벌 교육 의제가 어떻게 개별 국가의 정책으로 실현되는지에 대해 정책 차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