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2018. 2. 임도빈.전통적으로는 인간 노동에 대한 임금을 비용으로 인식하였으나 최근 인간을 투자의 대상인 자본으로 인식하여 인적 자원(human resource) 또는 인적 자본(human capita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인적 자원 관리라고 한다면 국민들이 각자 자기 역할에 맞는 일터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하여 국가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영역 적합성(person-sector fit)에 따라서 어떤 사람이 어떤 고용 영역에 들어가면 좋은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많이 연구되어 온 것이 공직선택동기(Public Sector Motivation)이다. 공직선택동기란 공공 영역을 선택하는 동기이다. 공직선택동기로서 가장 주목받으면서 연구되어온 것으로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가 있다. 그러나 공공봉사동기 개념은 미국에서부터 발전한 것으로 한국적 맥락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다. 한국적 맥락에서 공직선택동기로서 학자들에 의해 추론되고 있는 것은 출세 동기나 권력 동기, 직업안정성 동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어떤 직업선택동기가 공공 영역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한국적 맥락의 공직선택동기를 탐색해보았다. ASA(Attraction-Selection-Attrition) 모델에 입각하여 공공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