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17. 8. 허수.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기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사회사업정책의 전개를 살펴봄을 통하여 이 정책의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식민권력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우선 조선총독부의 사회사업정책은 구제, 경제보호사업, 사회교화사업의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구제는 1910년대부터 실시되었으며 노동능력이 부재한 무능력자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경제보호사업과 사회교화는 1920년대 문화정치기에 사회사업정책으로 도입되었다. 경제보호사업은 빈곤을 사회구조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시각 위에서 제도화되었으며 노동하는 빈민을 구제 대상으로 하였다. 경제보호사업은 공익시장, 공익질옥, 직업소개사업, 간이숙박소 등 도시 노동자를 위한 시설로 구성되었다. 사회교화는 빈곤에 대한 정신적 구제를 하는 사업으로 근면윤리를 보급하는 것으로, 민풍개선, 지방개량, 농촌진흥운동에서 생활개선사업으로 이어졌다. 사회교화는 일본 사회사업의 독특한 부분이었는데, 일본보다 식민지 조선에서 더욱 강조되었고, 빈곤/사회문제가 확산될수록, 조선총독부의 행정적 장악력이 확장될수록 더욱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각 시기별 사회사업정책을 살펴본바 다음과 같은 전개 양상이 나타났다. 일제는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식민지주제를 확립하고 조선왕조의 구제제도를 축소시키면서 일본식의 구제관(빈곤관)에 입각한 제한적 구제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