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4. 8. 김종욱.이 논문은 한국 근대소설이 저널리즘과 상호작용하면서 획득한 미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근대소설을 저널리즘과의 상관성 속에서 고찰한다는 것은 저널리즘이 다루는 세계에 대응하여 근대소설이 획득한 미적 특성과 그 의미를 밝히는 작업에 해당된다. 본고는 그간의 매체-제도적 관점으로 이루어진 문학연구의 방법을 극복하고 문학이 지닌 독특한 미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근대작가들의 신문사 기자체험에 주목했다. 한국 근대작가들은 대부분 문인-기자로 활동하면서 근대소설사에 중요한 미학적 성과를 낳았다. 문인-기자는 언론장과 문학장을 각각 경험하면서 저널리즘의 논리를 체험하는 동시에 자신의 문학적 비전을 실천하는 자리에 있었다. 따라서 식민지 시기 민간지 발간 이후 보다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 저널리즘과 문학의 상관성을, 본고에서는 문인-기자의 글쓰기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소설이 획득한 미적 특성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1920~30년대 저널리즘 상황과 소설의 상관성을 살피기 위해 사실성, 대중성, 정치성의 범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범주는 이 시기 저널리즘과 소설이 공통적으로 추구한 가치에 해당한다. 언론의 글쓰기와 소설 쓰기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담기 위해 각각의 논리와 방법을 모색했으며, 저널리즘의 독자 확보를 위한 노력은 소설의 예술성과 대중성 획득이라는 이중 과제를 부여했다. 그리고 피식민지 지식인으로서 기자와 작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