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2023. 8. 김세훈.20%가 넘으면 초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25년도 20.6%를 예상하면서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2년 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인구학적 변화 흐름 아래 고령자를 위한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 세대의 특성도 달라져 예비 고령 세대는 노년기의 독립성을 보장하면서 노후 생활에 대한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여 고령 친화 산업이 전반적으로 성장 중이다. 잠재 수요자인 예비 고령자 세대는 도시에서 성장하여 도시에서의 지속적 거주(Aging in Place)를 희망하여 도시형 고령자 주택 공급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그러나, 민간 영역에서는 고급형 고령자 주택으로 상품화 되어 소수 고소득층을 위한 시설로 발전하였고, 공공영역에서 공급한 시설은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중간 영역이 부재한 상황으로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주거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 주거 시장에 대한 시장세분화의 필요성을 수년간 인지하고 있으나 제자리걸음인 수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초고령화로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고령자 주택 시장에서 부재한 중간 영역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과 더불어 고령자의 새로운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주택 공급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수요, 공급 측면으로 이원화 되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