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학과(환경관리전공), 2016. 8. 윤순진.2016년은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가 난 지 30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난 지 5년이 되는 해이다. 세계의 핵발전은 스리마일섬, 체르노빌,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를 겪으며 부침을 거듭해왔다. 특히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일어난 후쿠시마 핵발전소 참사는 독일 등 여러 국가들이 탈핵을 선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상황은 조금 다르다. 2016년 4월 현재 세계 핵반응로는 444기인데, 이 중 동아시아에서 가동되고 있는 핵반응로는 107기나 된다. 동아시아에서 핵발전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중국으로, 중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잠시 신규 핵발전소에 대한 승인을 중단하였다가 2012년 승인을 재개하였고 2016년 4월 현재 32기의 핵발전소를 가동 중에 있으며 추가로 22기를 동시에 건설 중이다. 중국이 이렇게 핵발전소 확대에 적극적인 것은 석탄화력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 해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을 묻는 국제사회에 탄소 감축의 노력을 보여주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핵발전은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는 기술이다. 대형 사고를 통해 그 위험성이 드러나며 세계 곳곳에서 탈핵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중국 본토에서는 그 움직임이 가시적이지 않았으나, 홍콩에서는 체르노빌 사고 이후 활발한 반핵운동을 통해 80년대에 광둥 지역의 따야완 핵발전소 감시 조사단을 꾸린 바 있다. 중국 본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