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직업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직업지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직업지표의 틀을 구성한다. 둘째, 직업지표의 틀에 따라 엔지니어· 건설· 생산 분야의 주요 직업을 대상으로 현직자 조사를 실시하여 직업지표를 구한다. 셋째, 직업지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과 고령자의 취업, 기능· 기술계 직업의 위상, 신생직업 등 직업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토의하고 정책 제언을 이끌어 낸다. 넷째, 국민들에게 직업의 양적· 질적 속성을 풀어 소개하는 직업정보서 『2011 한국의 이공계 직업지표』를 편찬한다. 본 보고서와는 별도로 『2011 한국의 이공계 직업지표』를 연구자료로 편찬하였다.1. Purpose of Stud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occupational information to support career choi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onditions and prospects of Korean major occupations.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useful occupational information that could be a guide when choosing a job. An Occupational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
정부가 ‘전문대학 육성 방안’을 발표한 상황에서 국책연구소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이 방안을 진단해 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추가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전문대학의 발전 과...
본 연구에서는 청년실업의 고착화로 야기된 이러한 전공-직무 불일치 및 취업 이후 이직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청년들이 대학 졸업이후 직업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그 이후에 ...
근로자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직자의 직업훈련을 활성화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실업 상태의 훈련이나 개인별 자기개발보다는 재직자단계에서 훈련...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직업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직업지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직업지표의 틀을 구성한다. 둘째, 직업지표의 틀...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직, 사회·판매 및 개인 서비스직, 농림어업직의 현직자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업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직업분석에...
2017년 연구의 목표는 ‘국가숙련전망조사’ ‘국가숙련전망조사’와 ‘KRIVET 국가숙련전망 모형’에 터하여 조사를 진행해 나갈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전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지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기업의 지식축적 행위와 좋은 일자리 제공 행위가 어떠한 상보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제고로 이...
본 연구는 지식 정보 산업화 진전에 따른 지식기반산업으로 이행하는데 따른 인력수요변화를 기반으로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산업 및 직업변화를 살펴보고 전망을 추정하여 제시하는데 1차 목...
본 연구는 3년간 조사된 원자료를 세부 직업별 직업지표별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정보로 제공하고, 맞춤형 진로선택 및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직업선...
본 연구의 목적은 1) 직업별 취업자 수, 임금 등과 같은 수량화된 정보뿐만 아니라, 직업의 안정성이나 전문성, 발전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시하려고 한다. 2) 향후 1...
본 연구에서 지속성장은 경쟁력 강화와 균형 잡힌 발전으로 구성된다. 경쟁력 강화는 산업과 기업의 경쟁력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균형 잡힌 발전은 좋은 일자리 확충과 사회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자를 대상으로 세부 직업의 속성과 변화를 측정하는 직업지표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별 맞춤형 취업 지원과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을 제언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및 건설업에서 산업 또는 직업의 특수적인 형태를 고려한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전문능력의 숙련부족, 숙련 격차, 숙련불일치 등 숙련 문제(skill s...
본 연구는 근래 기술개발의 주요흐름이 기술융합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러한 성과를 증대하기 위한 요소들이 어떠한 조건에서 영향을 끼치는지를 식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
본 연구는 생성된 진로정보의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학교진로교육 현장에 제공될 진로정보의 생성,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
정부가 ‘전문대학 육성 방안’을 발표한 상황에서 국책연구소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이 방안을 진단해 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추가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전문대학의 발전 과...
본 연구에서는 청년실업의 고착화로 야기된 이러한 전공-직무 불일치 및 취업 이후 이직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청년들이 대학 졸업이후 직업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그 이후에 ...
근로자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직자의 직업훈련을 활성화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실업 상태의 훈련이나 개인별 자기개발보다는 재직자단계에서 훈련...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직업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직업지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직업지표의 틀을 구성한다. 둘째, 직업지표의 틀...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직, 사회·판매 및 개인 서비스직, 농림어업직의 현직자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업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직업분석에...
2017년 연구의 목표는 ‘국가숙련전망조사’ ‘국가숙련전망조사’와 ‘KRIVET 국가숙련전망 모형’에 터하여 조사를 진행해 나갈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전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지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기업의 지식축적 행위와 좋은 일자리 제공 행위가 어떠한 상보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제고로 이...
본 연구는 지식 정보 산업화 진전에 따른 지식기반산업으로 이행하는데 따른 인력수요변화를 기반으로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산업 및 직업변화를 살펴보고 전망을 추정하여 제시하는데 1차 목...
본 연구는 3년간 조사된 원자료를 세부 직업별 직업지표별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정보로 제공하고, 맞춤형 진로선택 및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직업선...
본 연구의 목적은 1) 직업별 취업자 수, 임금 등과 같은 수량화된 정보뿐만 아니라, 직업의 안정성이나 전문성, 발전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시하려고 한다. 2) 향후 1...
본 연구에서 지속성장은 경쟁력 강화와 균형 잡힌 발전으로 구성된다. 경쟁력 강화는 산업과 기업의 경쟁력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균형 잡힌 발전은 좋은 일자리 확충과 사회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자를 대상으로 세부 직업의 속성과 변화를 측정하는 직업지표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별 맞춤형 취업 지원과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을 제언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및 건설업에서 산업 또는 직업의 특수적인 형태를 고려한 직종별 직업기초능력 및 직무전문능력의 숙련부족, 숙련 격차, 숙련불일치 등 숙련 문제(skill s...
본 연구는 근래 기술개발의 주요흐름이 기술융합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러한 성과를 증대하기 위한 요소들이 어떠한 조건에서 영향을 끼치는지를 식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
본 연구는 생성된 진로정보의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학교진로교육 현장에 제공될 진로정보의 생성,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
정부가 ‘전문대학 육성 방안’을 발표한 상황에서 국책연구소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이 방안을 진단해 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추가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전문대학의 발전 과...
본 연구에서는 청년실업의 고착화로 야기된 이러한 전공-직무 불일치 및 취업 이후 이직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청년들이 대학 졸업이후 직업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그 이후에 ...
근로자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직자의 직업훈련을 활성화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실업 상태의 훈련이나 개인별 자기개발보다는 재직자단계에서 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