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18. 8. 박성우.본 논문은 아렌트의 의식적 파리아 개념에 기존 연구들이 정치적인 것 결여와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는 과정의 시작으로 의식적 파리아 개념을 분석하는 것을 비판하며 시작한다. 의식적 파리아 개념이 정치적인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것은 타당한 분석이지만, 아렌트의 본래 구상은 파리아(사회적 소수자)가 처한 한계적 상황의 복잡성을 드러내며, 이에 따라 정치적인 것을 인지 및 추구하게 되는 과정에 더 큰 초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을 도출하는 근거로 『라헬 파른하겐: 어느 유대인 여성의 삶』과 The Jew as Pariah: A Hidden tradition을 핵심 텍스트로 분석하였다. 두 텍스트 분석에 앞서 본문의 2장에서는 아렌트의 정치적 영역과 행위 개념을 재구성하면서, 정치적 영역의 핵심이 여러 사람이 동등하고 지속적으로 함께함이라는 것과 행위에는 행위자 스스로도 규정할 수 없는 본질을 드러내는 특성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어 3장에서『라헬 파른하겐』 전체를 네 시기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네 시기 모두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과정이지만, 라헬이 이해한 자신과 세계의 관계 변화에 따라 분류하였다: 1) 분리되었던 세계로 다시 던져짐, 2) 세계로부터 도피, 3) 세계로부터 고립, 동화, 그리고 소외, 4) 세계를 인정하고 경계에 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의식적 파리아의 삶의 방식은, 자신을 배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