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접근 방법에 의해 정부 및 정치현상과 정부실패・정치실패의 위험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상당한 한계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국방과 치안은 경제학적으로 보면 공공재다. 그런데 정부가 개입하면 정치재가 된다. 정치재는 정치의 논리에 의해 작동한다. 인 간에 대한 이기성과 합리성 가정은 정부현상에 대해서도 상당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재의 공급과정에서 인류가 겪어온 많은 실패는 경제학적 설명의 범위 밖에 놓여 있다. 경제학의 합리성은 수단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목표의 타당성을 다루는 개념이 아니다. 경제에서의 목표는 인간의 생물학적 욕구에 의해 규정된다. 합리성이란 이런 욕구를 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그런데 정부와 정치에서는 공동의 목표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개인의 합리성이 다른 사회구성원의 이익과는 충돌하는 일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설사 공동의 목표가 주어져도 이의 실현을 위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합리적 판단은 정보와 사고능력을 요구한다. 그런데 정부와 정치에서 어떤 정 보가 갖는 의미는 지극히 해석상대적이다. 인간의 사고와 언어에 내재된 여러 가지 인식론적 약점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경제학의 설명은 경제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합리성을 정치에도 단순히 연장하여 적용함으로 써 정부와 정치에서 발생하는 인식론적 측면을 배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제에서 합리적 판단 을 가능하게 했던 인간의 사고와 언어가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