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2017. 8. 황금택.93.5-96.9 mg/100 g)가 낮았다. 성숙도에 따른 오디의 총 추출물(MTE), nonanthocyanin 분획물(MNAF), anthocyanin 분획물(MAF)은 모두 Raw264.7과 HepG2 세포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MTE, MNAF, MAF는 Raw264.7 세포에서 산화질소(II) 생성을 억제시켜 염증 억제 효과가 있었다. Hexokin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MS-5의 MNAF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완숙 오디(MS-6, 7)보다 미숙 오디(MS-1-5)가 높았으며, MAF는 모든 시료에서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다. 오디가 익어갈수록 MNAF의 α-glucosidase 억제능은 낮아졌고, MAF의 경우는 높아졌다. 특히, 완숙 오디(MS-6, 7)의 MNAF와 미숙 오디(MS-4, 5)의 MAF를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이 acarbose보다 유의적으로(P<0.05) 우수한 α-glucosidase 억제능을 보였다. 미숙 오디 총 추출물의 1-deoxynojirimycin 함량은 완숙 오디의 경우보다 높았다. LC-MS/MS 분석으로 페놀 화합물을 확인하고 정량한 결과, MTE와 MNAF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chlorogen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neochlorogenic acid와 cryptochlorogenic acid도 검출되었으며, 오디가 익어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