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6. 2. 추호정.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업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매개 수단으로 예술 작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유형은 예술 후원에서 예술과 제품의 결합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마케팅 전략은 소비자의 감각 기관을 통해 감성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한편 현대 사회의 소비자는 그들의 소비에 있어서 제품의 기능적 속성이나 서비스 추구를 넘어 더 특별하며 자주 떠올릴 수 있는 경험적 소비를 원한다 (Pine & Gilmore, 1998). 전통적인 마케팅과 다른 시각으로 이러한 체험경제(experience economy)의 원리는 차별화된 체험 제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데 이러한 체험은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이끄는데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 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리테일 공간에서 미술 작품이 전시된 예술적 공간이 이끄는 감정적 가치와 점포 만족도에 대해 검증하였다. 소비자들에게 상품 판매나 서비스 외에 시각적 예술 향유 기회의 제공이 그들의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점포 만족도를 이끌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더불어 예술 향유 수준에 따라 감정적 가치에 대한 체험의 영향력이 다를 것으로 가정하여 문화 예술 향유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패션 점포 내 예술적 공간 체험은 일탈적 체험, 교육적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