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7. 2. 박성춘.본 연구는 기존의 청소년 대상 통일의식 조사가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을 심층적,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1980년대 이후 청소년 통일의식의 특징을 『한민족통일문예제전』에 수록된 작품을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민족적 관점, 경제적 관점. 평화적 관점 그리고 문화적 관점의 4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 통일의식의 시기별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공교육기(1981∼1986)에는 냉전으로 인한 흑백논리의 속에서 북한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면서 남한의 정당성과 자유민주주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통일문예 작품에 전쟁 불안감 해소의 항목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비중도 높았다. 그리고 한민족이라는 동질성에 대한 인식은 통일문예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남한과 북한이 정치적,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정반대를 지향하고 있지만, 여전히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이 통일의 필요성 또는 당위성으로서 강력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둘째, 안보의식과 민족공동체 의식을 강조했던 통일·안보교육기(1987∼1991)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북한에 대한 적대감이나 전쟁의 불안감은 여전히 팽배해 있었지만 반공 이데올로기적 통일교육과 북한에 대한 적대감을 조성하는 교육에 대한 반성을 지적하는 글이 이 시기부터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