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8. 8. 전상인.지난 한국이 이룩한 경제성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발전국가론이다. 본 연구는 한국을 성공적인 발전국가로 설명함에 있어 계획 자원으로서 인적자원을 중요하게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내재적으로 산업화가 추동되기 위해서는 시장 합리적 사고를 가진 인적자원을 필요로 하나 한국은 예로부터 사농공상의 국가였기 때문이다. 서구의 근대 산업화는 프로테스탄트 윤리로부터 출발하여 근대적 노동관과 직업의식, 그리고 이동성 확대를 통한 도시의 탄생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사농공상의 역사적 경로를 가진 한국은 계획을 바탕으로 근대 산업화룰 추진하였고, 국민들은 사회적 대이동을 통하여 산업화에 필요한 인적자원이 되었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발전국가의 계획 자원으로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둘째, 국가의 인적자원 확보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는가? 셋째, 확보된 인적자원이 근대화 과정에서 기여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시기를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중화학공업은 세계시장에서 가장 강력하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성장 엔진이며, 특히 자본 집약적인 성격으로 인해 계획과정에서 자원의 집중이 중요하고 숙련된 인적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한국은 근대 산업화를 위한 계획의 가능성이 높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