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규장각에는 홍석주의 문집으로 판단되는 3종의 필사본이 전해진다. 17책, 36권 18책, 44권 20책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 3종의 필사본 문집을 분석하여 각 문집이 편찬된 시기를 추정하고 그 내용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는 홍석주가 생전에 문집을 편찬하기 위해 작성한 자료집으로 판단한다. 총 17책 가운데 1~15책은 홍석주가 작성한 글을 시간 순으로 정리하고, 16~17책은 홍석주가 1836년에 벼슬길에서 물러난 이후 1842년까지 정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은 1864년에 한장석이 편찬한 홍석주 문집의 초고로 판단된다. 한 장석은 홍석주의 외손자이다. 이 책은 글의 종류를 구분하고 시간 순으로 정리했으며, 여러 사람이 분담하여 베끼고 卷次를 매겼다. 이 책에는 수정 표시가 많이 남아있어 한장석이 편찬한 원본으로 판단한다. 은 1876년에 한장석이 편찬한 홍석주 문집의 최종본을 20세기에 재필사한 後寫本으로 판단한다. 여기에는 홍석주의 詩가 처음으로 수록되었다. 이 문집은 와 을 비롯해 홍석주가 작성한 글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다시 선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규장각에 소장된 홍석주의 필사본 문집은 ⇒ ⇒ 의 순으로 편찬되었다. 이는 조선시대의 문집이 草稿에서 定稿로 정리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There are three manuscripts of Hong Seok-ju's collection of works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세계 각지의 한학 연구자들 대부분은 한국에 소장된 중국문헌을 중시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현재 서울대학교에 위치한 규장각을 장서의 요충지로 꼽는다. 규장각(奎章閣)이라는 명칭은 ...
김규식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운동가이다. 그는 훌륭한 언어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1897년에서 1904년 사이에 미국에서 언어학을 전공했고, 중국...
주지하다시피 는 동양의 문화적 전통을 형성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가적 전통을 뿌리내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경서이다. 오랫동안 조선의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온 규장...
수많은 재일동포가 일본에 정착한 지 수세대가 지나도록 민족정체성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상황은 민족학교의 존속과 중요하게 연결되어 있다. 민족학교는 해방 후 일본 정부의 억압 속에...
북한의 김정은은 자신의 공식적인 체제를 출범하면서 통치이념으로 김일성-김정일 주의를 내세웠다. 2012년 4월 11일 당규약 개정을 통하여 조선로동당은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
이 연구는 해외 한국학 보급의 문제점과 그 중에서도 한국어교육의 여러 문제에 대해 한반도에서의 외국어 교육의 역사를 비교등써 고찰하였다. 해외 한국학 보급의 문제점과 그 중에서도 ...
일제 강점기에 한반도에서 행해진 '古績調査'의 遺産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해방 후 우리 역사학과 고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해서는 최근 한 국 근대사나 박물관학 ...
서경식은 1990년대에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전체 민족의 네이션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2년 무렵부터 그의 논점이 변화한다. 재일조선인을 민족해방 · 주권국가의 주체에서 난...
오늘 서울대 음대 통양음악연구소가 주최하는 제1회 국내학술대회의 기조발표를 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하면서 이 자리에 나왔다.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 박사님께서 서울대 음대 국...
이 논문의 초고는 2019년 2월 12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주최 전문가 토론회(북한 연구 현황과 과제)에서 발표된 바 있으며 토론과 심사를 거쳐 대폭 수정·보완되었다.지난 20...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한국과 일본 간에는 동맹 관계는 아니지만, 다양한 안보 관계가 진전되어 왔다. 한일 간 안보 관계는 시기에 따라 협력적 양상이 발전되는 경우도 존재했지만...
이 연구는 최근 질적, 양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문학 정전(canon) 목록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
본고에서는 화자가 특정한 형식적 표지를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정 개체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대상들이 제외 관련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구문으로 보았다. 제외구문...
본고는 한일회담에서의 기본관계조약 교섭 중 그 핵심이었던 제2조와 제3조의 과정분석을 통해서 그 과정에 대한 분석만이 밝혀낼 수 있는 논점들을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태까지...
한국 시문학사에서 윤동주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를 제외하고는 우리 문학사의 암흑기라고 불리기도 했던 일제 강점기 후반의 시문학을 논의하기 어려웠던 적도 있었다. 윤동주...
세계 각지의 한학 연구자들 대부분은 한국에 소장된 중국문헌을 중시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현재 서울대학교에 위치한 규장각을 장서의 요충지로 꼽는다. 규장각(奎章閣)이라는 명칭은 ...
김규식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운동가이다. 그는 훌륭한 언어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1897년에서 1904년 사이에 미국에서 언어학을 전공했고, 중국...
주지하다시피 는 동양의 문화적 전통을 형성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가적 전통을 뿌리내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경서이다. 오랫동안 조선의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온 규장...
수많은 재일동포가 일본에 정착한 지 수세대가 지나도록 민족정체성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상황은 민족학교의 존속과 중요하게 연결되어 있다. 민족학교는 해방 후 일본 정부의 억압 속에...
북한의 김정은은 자신의 공식적인 체제를 출범하면서 통치이념으로 김일성-김정일 주의를 내세웠다. 2012년 4월 11일 당규약 개정을 통하여 조선로동당은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
이 연구는 해외 한국학 보급의 문제점과 그 중에서도 한국어교육의 여러 문제에 대해 한반도에서의 외국어 교육의 역사를 비교등써 고찰하였다. 해외 한국학 보급의 문제점과 그 중에서도 ...
일제 강점기에 한반도에서 행해진 '古績調査'의 遺産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해방 후 우리 역사학과 고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해서는 최근 한 국 근대사나 박물관학 ...
서경식은 1990년대에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전체 민족의 네이션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2년 무렵부터 그의 논점이 변화한다. 재일조선인을 민족해방 · 주권국가의 주체에서 난...
오늘 서울대 음대 통양음악연구소가 주최하는 제1회 국내학술대회의 기조발표를 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하면서 이 자리에 나왔다.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 박사님께서 서울대 음대 국...
이 논문의 초고는 2019년 2월 12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주최 전문가 토론회(북한 연구 현황과 과제)에서 발표된 바 있으며 토론과 심사를 거쳐 대폭 수정·보완되었다.지난 20...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한국과 일본 간에는 동맹 관계는 아니지만, 다양한 안보 관계가 진전되어 왔다. 한일 간 안보 관계는 시기에 따라 협력적 양상이 발전되는 경우도 존재했지만...
이 연구는 최근 질적, 양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문학 정전(canon) 목록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
본고에서는 화자가 특정한 형식적 표지를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정 개체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대상들이 제외 관련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구문으로 보았다. 제외구문...
본고는 한일회담에서의 기본관계조약 교섭 중 그 핵심이었던 제2조와 제3조의 과정분석을 통해서 그 과정에 대한 분석만이 밝혀낼 수 있는 논점들을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태까지...
한국 시문학사에서 윤동주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를 제외하고는 우리 문학사의 암흑기라고 불리기도 했던 일제 강점기 후반의 시문학을 논의하기 어려웠던 적도 있었다. 윤동주...
세계 각지의 한학 연구자들 대부분은 한국에 소장된 중국문헌을 중시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현재 서울대학교에 위치한 규장각을 장서의 요충지로 꼽는다. 규장각(奎章閣)이라는 명칭은 ...
김규식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운동가이다. 그는 훌륭한 언어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1897년에서 1904년 사이에 미국에서 언어학을 전공했고, 중국...
주지하다시피 는 동양의 문화적 전통을 형성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가적 전통을 뿌리내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경서이다. 오랫동안 조선의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온 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