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지의 한학 연구자들 대부분은 한국에 소장된 중국문헌을 중시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현재 서울대학교에 위치한 규장각을 장서의 요충지로 꼽는다. 규장각(奎章閣)이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유래하였다. 원나라 문종(文宗)은 천력(天曆) 2년(1329) 3월 수도에 규장각을 세우고 서적과 서화를 모아 소장하였으며 우집(虞集)·가구사(柯九思)와 함께 이름난 서예 작품과 그림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일로 삼았다고 한다. 그러나 문종의 죽음에 따라 이 규장각도 점차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하여 살도랄(薩都剌)의 규장각감흥 (奎章閣感興) 이라는 시에는 꽃이 지고 봄이 깊은데 각문(閣門)은 닫혀 있네[花落春深鎖閣門], 꽃이 지고 봄이 깊은 것이 작년과 비슷하네[花落春深似去年]라는 탄식이 보인다. 이윽고 혜종(惠宗) 지원(至元) 6년(1340) 11월에는 선문각(宣文閣)으로 이름이 바뀌었던 바, 규장각이 중국에 존재했던 기간은 12년밖에 되지 않는다. 한국의 규장각이 처음으로 설치된 시점은 조선시대 정조(正祖) 연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규장각은 조선왕조의 도서관으로 기능하였다. 당시의 장서는 3만여 책으로 그 중 동본(東本), 즉 조선본은 약 1만여 책이고 화본(華本), 즉 중국본은 2만 책 가량이었다. 이후 대원군 시대(1864년 이후)의 규모 축소를 거쳐 1895년 개화파 정부 시기에는 규장원(奎章院)으로 명칭을 고쳤다가 1897년 수구파 정부에서 옛 명칭을 회복하였다.The article evaluates the ...
정책적 대안 제시라는 복표는 기초학문을 지향하면서 사회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두는 데에 익숙한 문화인류학과 민속학에서는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국의 현실에서는 필요한 것이...
치의학과/박사[한글]최근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정용 미니스크루는 부피가 작고 식립이 용이하지만 식립 후 해부학적 한계나 동요도 등으로 다시 식립이 필요한 상...
서경식은 1990년대에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전체 민족의 네이션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2년 무렵부터 그의 논점이 변화한다. 재일조선인을 민족해방 · 주권국가의 주체에서 난...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시 형식인 시조에 상응하는 일본의 전통적인 시 형식으로 하이쿠가 지목된다. 아울러, 이 두 시 형식에 대한 비교 논의가 줄곧 시도되어왔다. 명백히 시조와...
대학 분과나 학문 제도에서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 자연학과 철학은 중층적 구조를 유지하며 혼종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종성은 동양은 물론 19세기 중반 과학자(sc...
본 연구는 매체의 노출 빈도와 문자해독률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국문 사용자의 증가와 국문본 서적의 유통 및 출판 문제를 천주교 서적과 국문 독자와 연결시켜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
1910년을 전후로 조선(강점 이전 대한제국)과 일본 간 특히 언어 종교면에서의 친연성 에 바탕을 둔 동화(同化) 담론들이 생산, 유포되었다. 조선과 일본의 동조론(同祖論) 또는 ...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자료수집 및 고증과 분석의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근대적 연구의 효시이지만 식민사관 확립이라는 불순한 의도에 따라 조선유학사를 왜곡한 측...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의 일본 연구가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지역연구로서의 일본 연구를 선도해 온 일본 정치 분야의 연구에 초점을 맞춰, 그 성과와 한계...
정조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 중에서 인장을 가장 애호했고, 다양한 인장을 사용한 임금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서인을 통해 정조의 인장에 대한 애호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의 독서 편력과...
이 글에서는 한국의 미디어 역사 연구의 현실을 성찰하고 미래의 지향점을 모색하는 참고점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일본 미디어사 연구의 지형을 탐색하였다. 특히 일본 ...
20세기 이전 한중일 삼국의 문화 교류는 다방면에서 진행되었고, 마지막으로 진행된 분야 중 하나가 금석학이다. 청대 들어 중국 문물을 정리하는 학술 사업이 진행되면서, 청의 학자들...
우줘류의 (1943년~1945년)는 당시의 국어였던 일본어로 씌어진 작품으로, 타이완 출신의 식민지 지식인 후타이밍(胡太明)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
이 항목의 서술은 부분적으로, 졸고, 「세계의 위력과 주체의 소멸-웃음의 윤리학을 위한 미학적 정초」, 『실천문학』 2009년 여름호, pp. 68- 86의 논의를 토대로 수정·보...
은 문제적인 시집이다. 이를 계기로 모윤숙이 조선최초 여성시인으로 규정될 만큼 1세대 여성 시인의 작품에 비해 비약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중요성에 비해 이 시집은 심도 있게 ...
정책적 대안 제시라는 복표는 기초학문을 지향하면서 사회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두는 데에 익숙한 문화인류학과 민속학에서는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국의 현실에서는 필요한 것이...
치의학과/박사[한글]최근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정용 미니스크루는 부피가 작고 식립이 용이하지만 식립 후 해부학적 한계나 동요도 등으로 다시 식립이 필요한 상...
서경식은 1990년대에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전체 민족의 네이션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2년 무렵부터 그의 논점이 변화한다. 재일조선인을 민족해방 · 주권국가의 주체에서 난...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시 형식인 시조에 상응하는 일본의 전통적인 시 형식으로 하이쿠가 지목된다. 아울러, 이 두 시 형식에 대한 비교 논의가 줄곧 시도되어왔다. 명백히 시조와...
대학 분과나 학문 제도에서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 자연학과 철학은 중층적 구조를 유지하며 혼종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종성은 동양은 물론 19세기 중반 과학자(sc...
본 연구는 매체의 노출 빈도와 문자해독률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국문 사용자의 증가와 국문본 서적의 유통 및 출판 문제를 천주교 서적과 국문 독자와 연결시켜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
1910년을 전후로 조선(강점 이전 대한제국)과 일본 간 특히 언어 종교면에서의 친연성 에 바탕을 둔 동화(同化) 담론들이 생산, 유포되었다. 조선과 일본의 동조론(同祖論) 또는 ...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자료수집 및 고증과 분석의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근대적 연구의 효시이지만 식민사관 확립이라는 불순한 의도에 따라 조선유학사를 왜곡한 측...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의 일본 연구가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지역연구로서의 일본 연구를 선도해 온 일본 정치 분야의 연구에 초점을 맞춰, 그 성과와 한계...
정조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 중에서 인장을 가장 애호했고, 다양한 인장을 사용한 임금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서인을 통해 정조의 인장에 대한 애호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의 독서 편력과...
이 글에서는 한국의 미디어 역사 연구의 현실을 성찰하고 미래의 지향점을 모색하는 참고점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일본 미디어사 연구의 지형을 탐색하였다. 특히 일본 ...
20세기 이전 한중일 삼국의 문화 교류는 다방면에서 진행되었고, 마지막으로 진행된 분야 중 하나가 금석학이다. 청대 들어 중국 문물을 정리하는 학술 사업이 진행되면서, 청의 학자들...
우줘류의 (1943년~1945년)는 당시의 국어였던 일본어로 씌어진 작품으로, 타이완 출신의 식민지 지식인 후타이밍(胡太明)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
이 항목의 서술은 부분적으로, 졸고, 「세계의 위력과 주체의 소멸-웃음의 윤리학을 위한 미학적 정초」, 『실천문학』 2009년 여름호, pp. 68- 86의 논의를 토대로 수정·보...
은 문제적인 시집이다. 이를 계기로 모윤숙이 조선최초 여성시인으로 규정될 만큼 1세대 여성 시인의 작품에 비해 비약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중요성에 비해 이 시집은 심도 있게 ...
정책적 대안 제시라는 복표는 기초학문을 지향하면서 사회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두는 데에 익숙한 문화인류학과 민속학에서는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국의 현실에서는 필요한 것이...
치의학과/박사[한글]최근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정용 미니스크루는 부피가 작고 식립이 용이하지만 식립 후 해부학적 한계나 동요도 등으로 다시 식립이 필요한 상...
서경식은 1990년대에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전체 민족의 네이션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2년 무렵부터 그의 논점이 변화한다. 재일조선인을 민족해방 · 주권국가의 주체에서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