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행복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 패널조사(KEEP)의 7, 8, 9차년도 설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2학년도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874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Amos(18)와 Mplus(7.2)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행복의 초기값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의 초기값이 자기주도학습의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각각 자기주도학습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행복 초기값을 매개로 하여 자기주도학습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보다 행복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능감이 행복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happ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Korean univer...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 참여하면서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비교적 최근에 구안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여러 연구를 이론적으로 ...
본고는 우리나라 대학교육기회의 확대 이후 대학진학행동의 지역적 패턴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하고, 그 변화의 기저에 깔려 있는 교육행동과 노동시장의 상황과 관계에 대해 논의를...
이 연구는 긍정적 일터환경 구축의 핵심요인인 구성원 웰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을 선별하여 변인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행복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차, 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취목표지향, 자기효능감, 동료도움, 자원 활용이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행동이 고용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
논문 요약본 연구는 학교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사회적 관계 변인, 즉, 부모과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의 상대적인 영향력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단자료를 통하여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요약본 연구는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구인의 하나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동기이론 중의 하나인 자기효능감, 각각의 변인과...
이 논문은 김대영(2018)의 박사학위 논문 일부를 수정, 보완하였음.이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
本稿は日本と韓国の中学・高校生における自尊感情の比較を通して、青少年における自尊感情を支える要因を分析する。先行研究により本稿では、家族や教師、友人との関係のように自尊感情を育む場と、学校生活や将来展...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연행동과 완벽주의 군집유형에 따른 동기변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패공포, 자기결정 성,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86...
われわれは、自己教育力育成に向けた教育方法の改善を目的に、生命健康科学部の平成18年度入学生を対象にした自己教育力とその関連要因に関する質問紙調査を行い、入学直後から1年間の変化を分析した。その結果、...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수강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직무자율성, 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개별적인 성취목표지향성이 학교소속감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 참여하면서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비교적 최근에 구안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여러 연구를 이론적으로 ...
본고는 우리나라 대학교육기회의 확대 이후 대학진학행동의 지역적 패턴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하고, 그 변화의 기저에 깔려 있는 교육행동과 노동시장의 상황과 관계에 대해 논의를...
이 연구는 긍정적 일터환경 구축의 핵심요인인 구성원 웰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을 선별하여 변인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행복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차, 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취목표지향, 자기효능감, 동료도움, 자원 활용이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행동이 고용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둘 간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
논문 요약본 연구는 학교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사회적 관계 변인, 즉, 부모과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의 상대적인 영향력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학생몰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종단자료를 통하여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요약본 연구는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구인의 하나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동기이론 중의 하나인 자기효능감, 각각의 변인과...
이 논문은 김대영(2018)의 박사학위 논문 일부를 수정, 보완하였음.이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
本稿は日本と韓国の中学・高校生における自尊感情の比較を通して、青少年における自尊感情を支える要因を分析する。先行研究により本稿では、家族や教師、友人との関係のように自尊感情を育む場と、学校生活や将来展...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연행동과 완벽주의 군집유형에 따른 동기변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패공포, 자기결정 성,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86...
われわれは、自己教育力育成に向けた教育方法の改善を目的に、生命健康科学部の平成18年度入学生を対象にした自己教育力とその関連要因に関する質問紙調査を行い、入学直後から1年間の変化を分析した。その結果、...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수강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직무자율성, 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개별적인 성취목표지향성이 학교소속감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 참여하면서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비교적 최근에 구안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여러 연구를 이론적으로 ...
본고는 우리나라 대학교육기회의 확대 이후 대학진학행동의 지역적 패턴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하고, 그 변화의 기저에 깔려 있는 교육행동과 노동시장의 상황과 관계에 대해 논의를...
이 연구는 긍정적 일터환경 구축의 핵심요인인 구성원 웰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개인 및 조직 변인을 선별하여 변인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