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2020. 2. 김창대.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의 핵심 과정 중 하나로 지목되는 수용이 사회불안 성향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불안 관련 변수만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ACT의 궁극 목표가 가치 지향적 행동의 추구임을 고려할 때, 수용에 대한 연구는 불안 관련 변수만이 아니라 가치 지향적 행동을 촉진하는 과정 변수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ACT의 치료과정에 대한 미시적 연구로서, 수용의 효과 기저에 있는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의 치료적 메커니즘을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59명의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들은 수용 기반 개입 집단과 중립 통제 집단 중 하나로 배정되었으며, 이 중 56명(실험 27, 통제 29)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사회불안을 유발하는 장치로서, 참여자들에게 5분의 즉흥 발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발표에 앞서 실험 집단은, 수용의 개념을 설명하고 실제로 수용을 체험해보게 하는 영상을 시청하였다. 통제 집단의 경우 중립 자극으로서 역사 다큐멘터리를 시청하였다. 본 실험의 주된 종속변수 중 하나인 자아 고갈은 자기 조절에 사용되는 제한된 정신 에너지의 고갈을 의미하며, 발표 수행을 저해하는 과정 변수로 상정되었다. 자아 고갈은 stop signal task(SST)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