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18. 2. 채수홍.이 논문은 해방정국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산이라는 공간이 자연이 머무는 장소가 되고, 사람들은 그 바깥에 머물게 된 과정, 즉 산이 자연으로 구성되어 가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핀다. 한반도에서 산림은 사람들의 정치․경제․사회적 삶과 밀접한 연관을 맺었다. 산은 인간 사회와 동떨어져 자체의 활동 원리로만 작동하는 원형의 자연의 공간이라기보다, 개인과 지역, 공동체, 국가의 전유의지가 침투하는 사회적 공간의 성격을 내재한다. 본 연구는 금강소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두 마을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와 금강송면 소광리를 연결하는 산림을 민족지적 연구 공간으로 정하였다. 연구자는 산림에서 시기를 달리하며 발생한 정치적 사건과 경제․사회 활동이 해당 공간의 생태적 특성과 맞물리며 산에 대한 어떤 인식의 변화를 만들어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다양한 목적으로 산림을 전유한 개인과 마을 공동체, 국가라는 세 주체의 상호작용은 산림 경관의 형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기를 달리하며 변화하는 세 주체의 상호작용 양상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것이 산림의 생태적 환경을 창안하는 일부가 됨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산림 전유의 역사 속에서 포착되는 자연과 사회에 대한 이분법적 인식을 고찰해, 양자 간의 경계가 생성과 해체, 재생성을 일으키는 과정을 살핀다. 연구자는 다음의 연구질문을 통해 195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