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2017. 8. 장진성.김시(金禔, 1524-1593)는 에서 나귀를 끌어당기는 동자의 모습을 단독으로 화면에 그렸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 그림이 제작된 16세기 조선의 사상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견려(牽驢)라는 모티프가 중 득우(得牛)의 의미와 연결되어 이해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를 다루었던 기존의 연구는 김시의 부친인 김안로(金安老, 1481-1537)의 정치적 몰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출사(出仕)가 어려워진 김시의 상황은 를 해석하는 주요 시각으로 확립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논의는 이 그림을 김시의 자화상적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석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조금 더 나아가 16세기 조선의 시대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필자는 의 성격을 새롭게 파악하고 아울러 이 그림의 지성사적인 맥락을 살펴보았다. 논문의 제 2장은 김시를 다각도로 살펴볼 것이다. 그가 지녔던 위상과 화원(畵員)로서의 활동, 작품, 정체성을 파악하여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김시는 그림으로 삼절(三絶)에 꼽힐 정도로 선조(宣祖, 재위 1567-1608)대 화명(畵名)을 떨친 화원이었다. 동시에 그는 당대 저명한 문사(文士)들과 어울리며 처사(處士)로서의 정체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김시는 은일 풍조를 잘 반영한 작품을 그렸으며 당대의 문인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가 맺고 있었던 문인들과의 관계와 이들과 함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