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피해경험, 가해경험, 가․피해경험, 무경험)에 따라 학교폭력 상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학부모에게 학교폭력 상황을 기술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 시나리오 상황에 따른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처리방식, 벌의 필요성 및 적절성에 대해 학부모의 인식을 묻는 질문지를 제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상황의 심각성과 처리 방식, 벌의 필요성 및 적절성에서 있어 학교폭력 경험유형별 학부모 인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학생 학부모가 가해학생 학부모, 가․피해학생 학부모, 무경험 학부모에 비해 동일한 학교폭력 상황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벌의 필요성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벌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피해학생 학부모와 가해학생 학부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우리나라 학부모를 위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교육상담적 접근 방법과 효과적인 학교폭력사안 처리를 위한 교사 연수를 위한 제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bull...
本論文は,家庭生活における望ましい親子関係を求めて,子どもに対する親の態度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自制性・協調性・情緒性・客観性・自主性・責任性・融通性)とが,どのように関連し合うのかを,多変量解析...
本論文は,前回報告した親子間の事実関係の考察に引き続き,多変量解析(数量化第II類)の手法を使って,子どもの対応態度と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さらに親子が相互に抱く期待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
의학과/석사본 논문은 SDQ-Kr의 진단 도구적 신뢰도를 K-CBCL과 비교를 통해 조사하고, 정보제공자로서 청소년 자신과 부모의 보고가 어떻게 일치하는지, 그것에 청소년의 성별과...
이 연구는 「학교폭력 실태조사 종단연구」자료를 토대로 중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교폭력 경험 양상에 변화가 있는지, 학교폭력 경험 양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
目的 评价自助式阅读教育材料对小学生家长暴力体罚子女行为的影响.方法 参与研究的小学生家长来自东北某城市2所小学一~六年级的24个班级.以班级为单位,将小学生家长随机分为教育组和对照组,通过学校发放学...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한국 학부모의 진로지도 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살고 있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17명을 심층면담 하고 그 결과를 ...
目的:了解小学生家长有关预防儿童性虐待的知识、态度和与子女交流的情况.方法:用自填式问卷,对某学校以班级为单位整群抽取1-5年级5个班的271名小学生家长就其对儿童性虐待问题的认识及与孩子交流的情况进...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 괴롭힘 피해 경험 및 심리 문제의 관계를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도시의 108개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심리적 독립성의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서울소재 남녀공학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目的 了解小学生父母近1 a来对子女躯体虐待行为的发生情况及其影响因素,为制定干预策略提供科学依据.方法 采用自填式问卷, 对某小学185名家长对子女躯体虐待的行为进行不记名调查.结果 在被调查的18...
본 연구는 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교사-학생관계,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학급 내 또래관...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시절 교사의 도덕적 행동을 직간접적으로 보았거나 실제로 수혜자로서 경험하였을 때 시간이 지난 후 대학생이 되었을 때 어떠한 긍정적인 도덕정서를 유발하고 도덕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에서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을 주제로 개최한 제15회 국제학술회의(2013. 10. 26.)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이 연구는...
目的 了解小学生家长对其子女精神暴力行为的发生情况,并探讨精神暴力行为的影响因素.方法 对中国东北地区某城市2所小学1 164名1~6年级小学生家长采用自填式不记名问卷调查,了解其在最近3个月内对子女...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급환경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급환경과 학교폭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학급환경 관련 측정문항들을 개발하고 ...
本論文は,家庭生活における望ましい親子関係を求めて,子どもに対する親の態度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自制性・協調性・情緒性・客観性・自主性・責任性・融通性)とが,どのように関連し合うのかを,多変量解析...
本論文は,前回報告した親子間の事実関係の考察に引き続き,多変量解析(数量化第II類)の手法を使って,子どもの対応態度と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さらに親子が相互に抱く期待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
의학과/석사본 논문은 SDQ-Kr의 진단 도구적 신뢰도를 K-CBCL과 비교를 통해 조사하고, 정보제공자로서 청소년 자신과 부모의 보고가 어떻게 일치하는지, 그것에 청소년의 성별과...
이 연구는 「학교폭력 실태조사 종단연구」자료를 토대로 중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교폭력 경험 양상에 변화가 있는지, 학교폭력 경험 양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
目的 评价自助式阅读教育材料对小学生家长暴力体罚子女行为的影响.方法 参与研究的小学生家长来自东北某城市2所小学一~六年级的24个班级.以班级为单位,将小学生家长随机分为教育组和对照组,通过学校发放学...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한국 학부모의 진로지도 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살고 있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17명을 심층면담 하고 그 결과를 ...
目的:了解小学生家长有关预防儿童性虐待的知识、态度和与子女交流的情况.方法:用自填式问卷,对某学校以班级为单位整群抽取1-5年级5个班的271名小学生家长就其对儿童性虐待问题的认识及与孩子交流的情况进...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 괴롭힘 피해 경험 및 심리 문제의 관계를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도시의 108개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심리적 독립성의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서울소재 남녀공학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目的 了解小学生父母近1 a来对子女躯体虐待行为的发生情况及其影响因素,为制定干预策略提供科学依据.方法 采用自填式问卷, 对某小学185名家长对子女躯体虐待的行为进行不记名调查.结果 在被调查的18...
본 연구는 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교사-학생관계,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학급 내 또래관...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시절 교사의 도덕적 행동을 직간접적으로 보았거나 실제로 수혜자로서 경험하였을 때 시간이 지난 후 대학생이 되었을 때 어떠한 긍정적인 도덕정서를 유발하고 도덕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에서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을 주제로 개최한 제15회 국제학술회의(2013. 10. 26.)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이 연구는...
目的 了解小学生家长对其子女精神暴力行为的发生情况,并探讨精神暴力行为的影响因素.方法 对中国东北地区某城市2所小学1 164名1~6年级小学生家长采用自填式不记名问卷调查,了解其在最近3个月内对子女...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급환경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급환경과 학교폭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학급환경 관련 측정문항들을 개발하고 ...
本論文は,家庭生活における望ましい親子関係を求めて,子どもに対する親の態度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自制性・協調性・情緒性・客観性・自主性・責任性・融通性)とが,どのように関連し合うのかを,多変量解析...
本論文は,前回報告した親子間の事実関係の考察に引き続き,多変量解析(数量化第II類)の手法を使って,子どもの対応態度と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さらに親子が相互に抱く期待と子どもの各特性の成熟度との関連...
의학과/석사본 논문은 SDQ-Kr의 진단 도구적 신뢰도를 K-CBCL과 비교를 통해 조사하고, 정보제공자로서 청소년 자신과 부모의 보고가 어떻게 일치하는지, 그것에 청소년의 성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