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의 위화도회군(1388년)은 상반된 평가를 받는 역사적 사건이다. 그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동아시아 힘의 공백기에 잃어버린 고구려의 고토를 되찾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고 말한다. 반대로 위화도회군이 불가피했다고 보는 사람들은, 고려군이 압록강 을 건너 요동지역으로 진군했더라면 강대국 명나라와의 대규모 전쟁은 불가피했으며, 만일 패전했을 경우 한반도에 제2의 한사군 설치와 같은 치욕적인 일이 발생했을 거라고 말한다. 위화도에서 회군하지 않았더라면 한반도의 왕조가 패망하고 말았을지, 아니면 동아시아의 강성대국, 즉 제2의 고구려가 성립되었을지는 알 수 없다.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그보다는 지도자의 결단과 실천이다. 이성계의 언행과 상황전개를 리더십모멘트(leadership moment)라는 관점에서, 즉 위화도회군을 감행할 때의 전환의 리더십과, 회군 이후의 돌파의 리더십의 시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성계와 그리고 그 뒤의 세종이 『태조실록』 『용비어천가』 등이 위화도회군 과정을 자세히 기록한 것의 역사적 의미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Yi Seong Gyes leadership in the Wehwadohoegun (troop withdrawal), 1388. The dissenter who opposed Yi Seong Gyes troop withdrawal said Yi missed the chance that Koryo could recapt...
선조 2년(1569) 9월, 홍문관 교리 이이가 讀書堂의 月課로 제출한 은 향후 그가 지속적으로 제출하는 각종 개혁론의 청사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에 대한 탐구는 이이 개혁론...
宋代取士之途,天子自詔曰制舉,制舉科目不一,亦曰制科。宋初制舉科目有三:一、賢良方正,能直言極諫。二、經學優深,可為師法。三、詳閑吏理,達於教化。凡內外職官,前資見任,或無官職人,並得由諸州及本司解送...
본고에서는 지각론(知覺論)과 미발론(未發論)을 중심으로 김재해(金載海, 생몰연대 미상)의 성리학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재해는 기존의 철학사에서는 매우 낯선 인물이며 생애에 대해서...
『직원록(職員錄)』은 일본 인쇄국(印刷局, 후에 내각(內閣)인쇄국)에서 편집 · 발행된 일본의 국가공무원에 대한 기록 문서이다. 여기에는 관제(官制) 및 공무원의 급료 · 명부 ․...
『승정원일기』는 1623년부터 1910년까지의 3,243책에 실록의 5배가량 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조선후기의 실록은 5부를 간행하여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 사고에 봉안하였다. 그...
2016-09박은식은 과도기의 인물이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박은식의 이 지닌 문학사적 성격을 해명하고, 이후 텍스트에서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 영향력의 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柳夢寅(1559∼1623)은 광해군대 大北派에 의해 주도된 廢母殺弟에 반대한 수많은 지식인 중 한 명이다. 동시에 광해군과 대북정권에 대항하여 발발한 인조반정 직후 광해군을 위해 ...
秋史 金正喜가 濟州道 流配에서 풀려나 海南에 머물며 쓴 "花經風雨人方惜 士在江湖道更尊"라는 七言絶句는 작품에 나타난 字體와 紙質만으로도 그의 작품임을 알 수 있으나, 樂汕居人의 落...
본 연구는 선조-인조대(1567-1649) 문과정시의 시행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선조-인조대 문과정시는 국방의 위기와 관련하여 주로 무과의 ...
靈山作法은 불교의식 중 齋에 포함돼 있는 단일 의식이고, 齋는 영혼천도 의식이다. 영산작법은 석가모니불의 영취산 설법모임을 재현한 것인데, 대승불교의 법화사상이 그 핵심을 이룬다....
본 글은 김창협이 편찬한 『오자수언』을 통해 김창협의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은 순경, 동중서, 양웅, 왕통, 한유 등 다섯 유학자의 순수한 언설을 선별한 문장 선집이다. 이들은 ...
13-14세기, 몽골제국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고려군주권은 상당부분 손상되고 약화되었다. 공민왕대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에 조응하면서 이렇게 손상, 약화된 고려군주권의 재...
Booker T. Washington and W. E. B. Du Bois: A Study in Race Leadership, 1895-1915. By Hae Sung Hwang....
1896년 2월 15일 일본 동경에서 대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大朝蘇人日本留學生親陸會)의 기관지 (親陸會會報)가 창간되었는데, 이는 우리의 손으로 만틀어진 최초의 근대적 국문잡지...
『일성록』 과거 기사의 작성 방식은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와 비교할 때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일성록』 전체를 관통하는 강목체로 작성하였을 뿐 아니라 기사에 수록할 내용과 ...
선조 2년(1569) 9월, 홍문관 교리 이이가 讀書堂의 月課로 제출한 은 향후 그가 지속적으로 제출하는 각종 개혁론의 청사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에 대한 탐구는 이이 개혁론...
宋代取士之途,天子自詔曰制舉,制舉科目不一,亦曰制科。宋初制舉科目有三:一、賢良方正,能直言極諫。二、經學優深,可為師法。三、詳閑吏理,達於教化。凡內外職官,前資見任,或無官職人,並得由諸州及本司解送...
본고에서는 지각론(知覺論)과 미발론(未發論)을 중심으로 김재해(金載海, 생몰연대 미상)의 성리학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재해는 기존의 철학사에서는 매우 낯선 인물이며 생애에 대해서...
『직원록(職員錄)』은 일본 인쇄국(印刷局, 후에 내각(內閣)인쇄국)에서 편집 · 발행된 일본의 국가공무원에 대한 기록 문서이다. 여기에는 관제(官制) 및 공무원의 급료 · 명부 ․...
『승정원일기』는 1623년부터 1910년까지의 3,243책에 실록의 5배가량 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조선후기의 실록은 5부를 간행하여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 사고에 봉안하였다. 그...
2016-09박은식은 과도기의 인물이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박은식의 이 지닌 문학사적 성격을 해명하고, 이후 텍스트에서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 영향력의 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柳夢寅(1559∼1623)은 광해군대 大北派에 의해 주도된 廢母殺弟에 반대한 수많은 지식인 중 한 명이다. 동시에 광해군과 대북정권에 대항하여 발발한 인조반정 직후 광해군을 위해 ...
秋史 金正喜가 濟州道 流配에서 풀려나 海南에 머물며 쓴 "花經風雨人方惜 士在江湖道更尊"라는 七言絶句는 작품에 나타난 字體와 紙質만으로도 그의 작품임을 알 수 있으나, 樂汕居人의 落...
본 연구는 선조-인조대(1567-1649) 문과정시의 시행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선조-인조대 문과정시는 국방의 위기와 관련하여 주로 무과의 ...
靈山作法은 불교의식 중 齋에 포함돼 있는 단일 의식이고, 齋는 영혼천도 의식이다. 영산작법은 석가모니불의 영취산 설법모임을 재현한 것인데, 대승불교의 법화사상이 그 핵심을 이룬다....
본 글은 김창협이 편찬한 『오자수언』을 통해 김창협의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은 순경, 동중서, 양웅, 왕통, 한유 등 다섯 유학자의 순수한 언설을 선별한 문장 선집이다. 이들은 ...
13-14세기, 몽골제국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고려군주권은 상당부분 손상되고 약화되었다. 공민왕대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에 조응하면서 이렇게 손상, 약화된 고려군주권의 재...
Booker T. Washington and W. E. B. Du Bois: A Study in Race Leadership, 1895-1915. By Hae Sung Hwang....
1896년 2월 15일 일본 동경에서 대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大朝蘇人日本留學生親陸會)의 기관지 (親陸會會報)가 창간되었는데, 이는 우리의 손으로 만틀어진 최초의 근대적 국문잡지...
『일성록』 과거 기사의 작성 방식은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와 비교할 때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일성록』 전체를 관통하는 강목체로 작성하였을 뿐 아니라 기사에 수록할 내용과 ...
선조 2년(1569) 9월, 홍문관 교리 이이가 讀書堂의 月課로 제출한 은 향후 그가 지속적으로 제출하는 각종 개혁론의 청사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에 대한 탐구는 이이 개혁론...
宋代取士之途,天子自詔曰制舉,制舉科目不一,亦曰制科。宋初制舉科目有三:一、賢良方正,能直言極諫。二、經學優深,可為師法。三、詳閑吏理,達於教化。凡內外職官,前資見任,或無官職人,並得由諸州及本司解送...
본고에서는 지각론(知覺論)과 미발론(未發論)을 중심으로 김재해(金載海, 생몰연대 미상)의 성리학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재해는 기존의 철학사에서는 매우 낯선 인물이며 생애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