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지각론(知覺論)과 미발론(未發論)을 중심으로 김재해(金載海, 생몰연대 미상)의 성리학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재해는 기존의 철학사에서는 매우 낯선 인물이며 생애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실록』에 따르면 그는 익위사(翊衛司) 부솔 (副率)(1713년 )을 지냈으며 서연(書筵)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처음에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의 문하에 있다가 박세채가 죽은 다음 윤증(尹拯, 1629- 1714)의 문하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과 관련하여 그는 정치적 반대파로부터 '스승을 배반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그는 사헌부의 탄핵으로 세마(洗馬)로 강등되었다가 결국 관직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김재해가 남긴 글은 「쌍호초고(雙湖草稿)」라는 제목의 책으로 정리되어 있다. 필사본의 형태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이 책은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주석한 「학용전기(學庸箋記)」 두 편, 김창협(金昌協, 1651-1708)과 이희조(李喜朝, 1655-1724)에게 보낸 서한들, 몇 편의 도설(圖說)을 담은 잡저, 「서연일기(書筵日記)」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책에는 간행 연대나 경위를 알려주는 정보가 담겨있지 않고 생애에 대해 알려주는 행장류의 글도 없다
주회와 진량의 義利. 王覇논변은 王道와 覇道라는 개념을 둘러싼 정치철학적 입장차이를 중심으로 전개된 논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두 사람 사이의 논쟁에서 王道와 覇道...
본고에서는 화자가 특정한 형식적 표지를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정 개체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대상들이 제외 관련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구문으로 보았다. 제외구문...
다른 글에서 필자는 알뛰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핵심이 초기의 인식론적 저작이며 중기 이후의 그의 저작들은 이러한 초기의 입장이 여러가지 비판을 흡수하면서 발전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
본 글은 김창협이 편찬한 『오자수언』을 통해 김창협의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은 순경, 동중서, 양웅, 왕통, 한유 등 다섯 유학자의 순수한 언설을 선별한 문장 선집이다. 이들은 ...
秋史 金正喜가 濟州道 流配에서 풀려나 海南에 머물며 쓴 "花經風雨人方惜 士在江湖道更尊"라는 七言絶句는 작품에 나타난 字體와 紙質만으로도 그의 작품임을 알 수 있으나, 樂汕居人의 落...
일반적으로 "나무"와 "숲"의 관계는 개체와 집단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나타내는 비유로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인식의 문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보완성은 기대할 수 없어서, 흔히들...
우리는 여기서 고대 중국의 문헌에 나타난 언어와 주체 형성과의 관련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리는 여기서 언어를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중성적 기능적 차원에 한정하여...
[[abstract]]心靈與意識研究在現今西方學界可說是一熱門的研究主題,諸多的研究成果皆採用或參考到佛教的觀點。但對於佛教與現今主流學界意識概念的出入,卻顯少受到注意。有鑑於此,本文即試著對初期佛...
세계를 대면하는 실학자의 시선에 대하여 그 문맥을 세밀히 드러내고 음미하는 것은 실학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연구에서 늘상 필요로 하는 기초적 작업에 속한다 실학이라는 용어와 관념은 ...
본 논문은 정조의 개인 문집인 가운데 , 그 중에서도 를 통해 에 대한 정조의 사유 경향이 어떠했는 지 분석한 글이다. 에 등장하는 다양한 정조의 條問과 이에 답한 초계문신...
주지하다시피 는 동양의 문화적 전통을 형성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가적 전통을 뿌리내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경서이다. 오랫동안 조선의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온 규장...
2016-09박은식은 과도기의 인물이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박은식의 이 지닌 문학사적 성격을 해명하고, 이후 텍스트에서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 영향력의 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불교계의 대표 선사인 방한암(方漢岩, 1876- 1951)의 선사상이 어떤 경향성을 가지며, 그것은 또 어떻게 실제적으로 구현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 연구는 북한 철학분야의 학문체계 및 연구현황을 검토하였다. 먼저 북한 철학분야의 연구기반과 철학의 분류 방식 등을 검토해 봄으로써 우리와 다른 북한 철학의 특징적 양상들을 파악...
이정(정명도와 정이천)은 장전의 본체기를 비판하면서 본체리에 입각한 성리학 본체론의 기초를 확립한다. 그러나 이들의 차이성만큼이나 공통성 또한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장재나...
주회와 진량의 義利. 王覇논변은 王道와 覇道라는 개념을 둘러싼 정치철학적 입장차이를 중심으로 전개된 논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두 사람 사이의 논쟁에서 王道와 覇道...
본고에서는 화자가 특정한 형식적 표지를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정 개체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대상들이 제외 관련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구문으로 보았다. 제외구문...
다른 글에서 필자는 알뛰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핵심이 초기의 인식론적 저작이며 중기 이후의 그의 저작들은 이러한 초기의 입장이 여러가지 비판을 흡수하면서 발전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
본 글은 김창협이 편찬한 『오자수언』을 통해 김창협의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은 순경, 동중서, 양웅, 왕통, 한유 등 다섯 유학자의 순수한 언설을 선별한 문장 선집이다. 이들은 ...
秋史 金正喜가 濟州道 流配에서 풀려나 海南에 머물며 쓴 "花經風雨人方惜 士在江湖道更尊"라는 七言絶句는 작품에 나타난 字體와 紙質만으로도 그의 작품임을 알 수 있으나, 樂汕居人의 落...
일반적으로 "나무"와 "숲"의 관계는 개체와 집단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나타내는 비유로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인식의 문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보완성은 기대할 수 없어서, 흔히들...
우리는 여기서 고대 중국의 문헌에 나타난 언어와 주체 형성과의 관련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리는 여기서 언어를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중성적 기능적 차원에 한정하여...
[[abstract]]心靈與意識研究在現今西方學界可說是一熱門的研究主題,諸多的研究成果皆採用或參考到佛教的觀點。但對於佛教與現今主流學界意識概念的出入,卻顯少受到注意。有鑑於此,本文即試著對初期佛...
세계를 대면하는 실학자의 시선에 대하여 그 문맥을 세밀히 드러내고 음미하는 것은 실학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연구에서 늘상 필요로 하는 기초적 작업에 속한다 실학이라는 용어와 관념은 ...
본 논문은 정조의 개인 문집인 가운데 , 그 중에서도 를 통해 에 대한 정조의 사유 경향이 어떠했는 지 분석한 글이다. 에 등장하는 다양한 정조의 條問과 이에 답한 초계문신...
주지하다시피 는 동양의 문화적 전통을 형성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가적 전통을 뿌리내리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경서이다. 오랫동안 조선의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해온 규장...
2016-09박은식은 과도기의 인물이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박은식의 이 지닌 문학사적 성격을 해명하고, 이후 텍스트에서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 영향력의 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불교계의 대표 선사인 방한암(方漢岩, 1876- 1951)의 선사상이 어떤 경향성을 가지며, 그것은 또 어떻게 실제적으로 구현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 연구는 북한 철학분야의 학문체계 및 연구현황을 검토하였다. 먼저 북한 철학분야의 연구기반과 철학의 분류 방식 등을 검토해 봄으로써 우리와 다른 북한 철학의 특징적 양상들을 파악...
이정(정명도와 정이천)은 장전의 본체기를 비판하면서 본체리에 입각한 성리학 본체론의 기초를 확립한다. 그러나 이들의 차이성만큼이나 공통성 또한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장재나...
주회와 진량의 義利. 王覇논변은 王道와 覇道라는 개념을 둘러싼 정치철학적 입장차이를 중심으로 전개된 논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두 사람 사이의 논쟁에서 王道와 覇道...
본고에서는 화자가 특정한 형식적 표지를 사용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정 개체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대상들이 제외 관련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구문으로 보았다. 제외구문...
다른 글에서 필자는 알뛰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핵심이 초기의 인식론적 저작이며 중기 이후의 그의 저작들은 이러한 초기의 입장이 여러가지 비판을 흡수하면서 발전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