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과/석사[한글] 지난 35년 동안 골유착 임플란트의 수복은 치과계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으며, 완전 무치악 또는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Albrektsson 1988, Adell 1990). 그러나 무치악부위의 골질, 골량, 신경의 주행방향, 상악동의 위치 등 해부학적 제한과 환자의 경제적 사정에 의해 충분한 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한다.기존 자연치의 3본 고정성 국소의치와 같이 가운데 가공치를 가지는 디자인이 일반적이지만 이신경이 제2 소구치에 가까워 멀리 심어야 할 때 캔틸레버 가공치를 가지는 고정성 보철물 설계가 가능하다(Buser 1998). 이렇듯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수와 위치에 관한 논리적 근거가 부족한 현실이며, 치료 원칙에 대한 의견 역시 분분하다.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국소의치로 수복한 77명의 환자에서 87개 보철물을 대상으로 진료기록부와 방사선사진을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에 대해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물 장착시, 그 후 매년 정기 검사 시에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와 지대주 연결부위에서 변연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가공치의 길이, 임플란트 식립 부위, 대합치 종류, 성별 차이 등이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였으며,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합병증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국소의치로 수복한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7개 임프란트가 실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