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교진학 이전의 개인과 가정배경을 통제한 후,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 간 진로준비 경험과 진로성숙도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 1차년도(2016년)의 고교 2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경향점수를 활용한 결합표집에 포함된 1,974명(마이스터고 987명, 특성화고 987명)의 학생을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경험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경향점수를 활용한 결합표집 이전에는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진로교육 및 활동 참여와 취업지도의 다양성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나, 결합표집 이후에는 취업지도의 다양성만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결합표집 이전과 이후 모두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진로교육 및 활동과 취업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결합표집 이전과 달리 이후에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및 준비)과 전체 진로성숙도에 있어 모두 학교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마이스터고의 교육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이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마이스터고가 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 및 활동 참여의 다양성을 높이고 진로성숙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체계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areer preparation exp...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도를 교사의 경력, 성별, 학력 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는 사이버 상담 게시판에 진로문제를 호소한 사례의 질적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진로가 있지만 진로목 표수행과정에서 진로장벽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내적 경험과 그 특징을 분석...
碩士工業教育與技術學系[[abstract]]摘 要 本研究旨在瞭解台灣地區後期中等教育學生生涯成熟情形,並比較綜合高中、普通高中及高級職業學校在不同背景變項上差異狀況。經分層抽樣及立意抽樣方式,選...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생 1...
이 연구는 소득계층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교육활동 참여 및 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소득계층별 진로교육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016년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09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출신의 4년제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고교 계열(문과 또는 이과)별로 대...
진로상담자의 전문성은 진로상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나 진로상담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할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역량의 관점에서 진로상담전...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만족도에서 이질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적응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시 대학생활적응도의 5가지 하위척도를 고려한 처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최근 상담 분야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질적 연구방법인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토대로 연구를 실시하...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명하는 것이다. 이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진로탐색 교과목(진로 및 경력개발) 수강여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힘으...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진로교육이 운영되고 있는 현황 개관 · 진로개발 역량의 개념 정의 및 하위 요소에 관한 논의 검토.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교과와 통합하고자 하는 진로교...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생의 단계별 진로발달 과업에 대한 일반인의 암묵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3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자유 응답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도를 교사의 경력, 성별, 학력 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는 사이버 상담 게시판에 진로문제를 호소한 사례의 질적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진로가 있지만 진로목 표수행과정에서 진로장벽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내적 경험과 그 특징을 분석...
碩士工業教育與技術學系[[abstract]]摘 要 本研究旨在瞭解台灣地區後期中等教育學生生涯成熟情形,並比較綜合高中、普通高中及高級職業學校在不同背景變項上差異狀況。經分層抽樣及立意抽樣方式,選...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생 1...
이 연구는 소득계층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교육활동 참여 및 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소득계층별 진로교육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016년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09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출신의 4년제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고교 계열(문과 또는 이과)별로 대...
진로상담자의 전문성은 진로상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나 진로상담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할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역량의 관점에서 진로상담전...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활동경험 만족도에서 이질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적응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시 대학생활적응도의 5가지 하위척도를 고려한 처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최근 상담 분야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질적 연구방법인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토대로 연구를 실시하...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명하는 것이다. 이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진로탐색 교과목(진로 및 경력개발) 수강여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힘으...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진로교육이 운영되고 있는 현황 개관 · 진로개발 역량의 개념 정의 및 하위 요소에 관한 논의 검토.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교과와 통합하고자 하는 진로교...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생의 단계별 진로발달 과업에 대한 일반인의 암묵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3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자유 응답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 ...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도를 교사의 경력, 성별, 학력 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는 사이버 상담 게시판에 진로문제를 호소한 사례의 질적분석을 통하여 원하는 진로가 있지만 진로목 표수행과정에서 진로장벽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내적 경험과 그 특징을 분석...
碩士工業教育與技術學系[[abstract]]摘 要 本研究旨在瞭解台灣地區後期中等教育學生生涯成熟情形,並比較綜合高中、普通高中及高級職業學校在不同背景變項上差異狀況。經分層抽樣及立意抽樣方式,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