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4GOMS를 이용하여 대학교 졸업 유예가 취업 및 임금에 끼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졸업유예 경험자들의 비율은 약 15%이며, 이전연구에서 제시한 졸업유예 경험자들의 비율은 과대 추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결과 졸업유예 경험은 취업률은 상당히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유예자들이 졸업유예를 하지 않은 대졸자에 비하여 약 7% 많이 취업을 하였다. 그러나 표본선택 모형을 통해 임금식을 추정한 결과 취업을 한 경우 졸업유예자의 초임은 비졸업유예자보다 약 30%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유예 경험이 오히려 실질적인 임금에는 부의 효과를 끼친 것이다. 결국 대학생들이 졸업유예를 통하여 취업 준비 기간을 확보했을 때 취업확률을 높이기는 하지만 더 좋은 일자리에는 가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on employment and wage status. The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14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hich found that approximately 15% of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 significantly conservative figure to previous estimates. A probit model of t...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차(2007), 2차년도(2008)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요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된 2011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2011)자료를 활용하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서...
○ 회사와 대학교육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학습시간 부족’이 46.4%, ‘교육비(개인 부담금) 부담’은 37.8%, ‘인근 지역에 희망 학과 부족’은 36.8%, ‘상사...
○ 대졸자의 17.9%가 졸업을 유예한 경험이 있으며, 남자(20.8%)가 여자(14.0%)보다 졸업유예율이 높음. ○ 상위 10개 대학의 졸업유예율은 31.0%로 11위 이하 ...
이 논문은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을 활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개인배경, 개인의 취업준비, 대학 특성, 대학의 취업...
○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에 하향취업한 이들의 경우 10명 중 적어도 6명은 다른 직장으로 이동을 하더라도 하향취업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함정에 빠짐. 특히 고착화 비중은 최근 ...
이 논문은 1)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초기의 하향취업 규모를 분석하고, 2) 하향취업에서 벗어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
본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취업률 산정의 보정방...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생 가운데 교육․의약계열을 제외하고, 국가자격, 민간자격, 국제자격 보유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
이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 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 취업률 지표 산정...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교 졸업생들을 모집단으로 확률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
이 연구는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고, 전공계열에 따라 이 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은 취업준비활동과 구직경로로 구...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차(2007), 2차년도(2008)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요인...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
본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 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 취업률 지표 산정...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차(2007), 2차년도(2008)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요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된 2011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2011)자료를 활용하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서...
○ 회사와 대학교육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학습시간 부족’이 46.4%, ‘교육비(개인 부담금) 부담’은 37.8%, ‘인근 지역에 희망 학과 부족’은 36.8%, ‘상사...
○ 대졸자의 17.9%가 졸업을 유예한 경험이 있으며, 남자(20.8%)가 여자(14.0%)보다 졸업유예율이 높음. ○ 상위 10개 대학의 졸업유예율은 31.0%로 11위 이하 ...
이 논문은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을 활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개인배경, 개인의 취업준비, 대학 특성, 대학의 취업...
○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에 하향취업한 이들의 경우 10명 중 적어도 6명은 다른 직장으로 이동을 하더라도 하향취업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함정에 빠짐. 특히 고착화 비중은 최근 ...
이 논문은 1)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초기의 하향취업 규모를 분석하고, 2) 하향취업에서 벗어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
본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취업률 산정의 보정방...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생 가운데 교육․의약계열을 제외하고, 국가자격, 민간자격, 국제자격 보유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
이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 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 취업률 지표 산정...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교 졸업생들을 모집단으로 확률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첫 직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
이 연구는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고, 전공계열에 따라 이 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은 취업준비활동과 구직경로로 구...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차(2007), 2차년도(2008)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요인...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
본 연구에서는 학과별 취업률이 격차를 가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학과 구성상의 차이로 인한 대학 취업률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계열별 대학취업지수를 이용한 대학 취업률 지표 산정...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차(2007), 2차년도(2008)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요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된 2011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2011)자료를 활용하여 출신대학 소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서...
○ 회사와 대학교육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학습시간 부족’이 46.4%, ‘교육비(개인 부담금) 부담’은 37.8%, ‘인근 지역에 희망 학과 부족’은 36.8%, ‘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