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 8. 권성호.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SNS 자기표현, 지각된 반응성, 자기존중감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여 청소년 운동선수 자기존중감의 긍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체육회 산하기관에 등록된 중·고교 운동선수 400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결과분석에 앞서 청소년 운동선수의 SNS 자기표현(긍정/솔직), 지각된 반응성, 자기존중감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PROCESS Macro Model 1번을 이용한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의 배경 변인과 SNS 이용특성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각된 반응성과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급에 따른 차이에서는 지각된 반응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에 따른 차이에서는 SNS 자기표현 중 긍정적 자기표현과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SNS 이용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솔직한 자기표현과 지각된 반응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SNS 이용동기에서는 솔직한 자기표현, 지각된 반응성,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주요변인 간에 정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