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Enterprises

  • 반가운
ORKG logo View in ORKG
Publication date
October 2013
Publishe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용의 문제를 기업의 교육훈련 문제와 대·중소기업 간 관계의 문제로 환원하여 천착하고자 한다. 대·중소기업 간 고용의 질 격차를 야기하는 생산성 격차의 근본 원인에 중소기업의 저숙련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훈련을 통해 향상되는 숙련은 기업의 생산성향상으로 이어져 고용 창출 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때 기업의 기술수준과 경영전략에 따라 숙련향상의 고용창출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 숙련의 증대가 기업 간 관계를 통해 중소기업 고용의 증대뿐만 아니라 양질의 대기업 고용의 증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대기업의 숙련향상은 중소기업 고용 파급효과를 일으키지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때 기업생태계 최상위층에 있는 재벌대기업이 일반대기업과 다른 양태를 보이는지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제기된 문제들을 보다 엄밀하게 확인해 보는 작업이 될 것이다.This paper analyzes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 training and employment at the firm level acknowledging that firms are a main agent of job creation. It aims to identify if firms can create jobs by investing in manpower, not in machines or facili...

Extracted data

We use cookies to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