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교수들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 토대로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척도 문항들을 개발하고, 대학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의사소통, 학습관, 교수·학습활동, 수업목표, 수업분위기조성), 33문항이 추출되었다. 둘째, 5요인들로 구성된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척도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검사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GFI, AGI, TLI 등의 적합도 지수가 .90이상 RMSEA가 .08이하를 나타내 적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고, 신뢰도 계수도 .74~.83의 범위를 나타내 신뢰로운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척도와 관련성이 있는 교수신념 및 교수신뢰 척도의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 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 척도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pplicability of the S3CPS(Smart Support Syste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nto offline classroom activities. S3CPS is an online system developed to suppor...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 전문인력 중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용 학습장애 자가진단 선별척도」를 타당화하였다. 학습장애를 판별하기에 앞서 심층적인 평가가 필요한 아동을 식별하기 위한 과정으로, 특수교육 서비스로 의뢰하기...
学習場面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を開発し、情動知能及び自己肯定意識との関係を検討した。研究Iでは、対人関係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である主観的随伴経験(牧ら, 2003)を参考にして、学習活動における随伴...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도구를 개발, 이에 대한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
教員養成課程の学生は,自らがアクティブ・ラーナーとして学ぶ力に加え,教員としてアクティブ・ラーナーを育てる力を身につけることが求められる。本研究では,それらの力をAL授業設計力,AL指導力と定義し,力...
최근 많은 기업들이 e-Learning을 도입하여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훈련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지식경영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e-Lear...
최근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도울 수 있는 학습분석학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바람직한 교수학습의 구현을 위해 체계적인 교수학습은 ...
研究主要探討學生評鑑教師教學因素構念在跨層級架構下的合理性,以作為學生評鑑教師教學多層次議題發展的立論依據。研究對象為東部某大學大學部180 班學生,班級人數介於13 和78人之間,總樣本數為6,56...
本研究は「目標と評価」の関係にかかわる具体的な場面を設定した調査課題によって,教職課程履修学生の評価についての適切性判断やその根拠を把握し,それらの特徴や問題点,および学習者が講義等を通じて学習した事...
本研究では大学の教職課程で学修する学生のルーブリック評価や評価に対する意識の実情を明らかにし、教職学生の評価観に関する課題を指摘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まず、ルーブリック評価の現状を整理した上で、授業で...
Розвиток сучасних технологій оцінювання результатів навч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студентів ставить питання ...
이 연구에서는 교사평가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논의하고,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평가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사평가의 목적,대상,내용,참여자,방법 및 절차,결과 활용 등...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本研究の目的は,「ネット型」ボールゲームで獲得される能力の系統を開発するとともに,授業実践を通して確認することであった。小学校3年生の実践では,ボールの飛来時間を遅くしたワンバウンドでのボールの扱いと...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 전문인력 중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용 학습장애 자가진단 선별척도」를 타당화하였다. 학습장애를 판별하기에 앞서 심층적인 평가가 필요한 아동을 식별하기 위한 과정으로, 특수교육 서비스로 의뢰하기...
学習場面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を開発し、情動知能及び自己肯定意識との関係を検討した。研究Iでは、対人関係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である主観的随伴経験(牧ら, 2003)を参考にして、学習活動における随伴...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도구를 개발, 이에 대한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
教員養成課程の学生は,自らがアクティブ・ラーナーとして学ぶ力に加え,教員としてアクティブ・ラーナーを育てる力を身につけることが求められる。本研究では,それらの力をAL授業設計力,AL指導力と定義し,力...
최근 많은 기업들이 e-Learning을 도입하여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훈련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지식경영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e-Lear...
최근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도울 수 있는 학습분석학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바람직한 교수학습의 구현을 위해 체계적인 교수학습은 ...
研究主要探討學生評鑑教師教學因素構念在跨層級架構下的合理性,以作為學生評鑑教師教學多層次議題發展的立論依據。研究對象為東部某大學大學部180 班學生,班級人數介於13 和78人之間,總樣本數為6,56...
本研究は「目標と評価」の関係にかかわる具体的な場面を設定した調査課題によって,教職課程履修学生の評価についての適切性判断やその根拠を把握し,それらの特徴や問題点,および学習者が講義等を通じて学習した事...
本研究では大学の教職課程で学修する学生のルーブリック評価や評価に対する意識の実情を明らかにし、教職学生の評価観に関する課題を指摘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まず、ルーブリック評価の現状を整理した上で、授業で...
Розвиток сучасних технологій оцінювання результатів навчальної діяльності студентів ставить питання ...
이 연구에서는 교사평가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논의하고,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평가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사평가의 목적,대상,내용,참여자,방법 및 절차,결과 활용 등...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本研究の目的は,「ネット型」ボールゲームで獲得される能力の系統を開発するとともに,授業実践を通して確認することであった。小学校3年生の実践では,ボールの飛来時間を遅くしたワンバウンドでのボールの扱いと...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 전문인력 중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용 학습장애 자가진단 선별척도」를 타당화하였다. 학습장애를 판별하기에 앞서 심층적인 평가가 필요한 아동을 식별하기 위한 과정으로, 특수교육 서비스로 의뢰하기...
学習場面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を開発し、情動知能及び自己肯定意識との関係を検討した。研究Iでは、対人関係における随伴経験の尺度である主観的随伴経験(牧ら, 2003)を参考にして、学習活動における随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