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ocational training reform plan corresponding to the demand of the SW industry

  • 이상준
ORKG logo View in ORKG
Publication date
December 2016

Abstract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미래준비위원회, KISTEP, KAIST 등이 발간한 10년 후 대한민국 뉴노몰 시대의 성장 전략을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처한 상황 분석과 미래 예측을 기반으로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갈 유망 신산업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디지털 경제, 초연결 사회, 제조업의 혁명 등 경제 이슈들은 디지털 기술이 사회 변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술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새로운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기존 주력산업과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첨단화 등이 성장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맞추어 정형화된 학교교육의 부문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인력에 대한 양성과 이미 양성된 인력에 대한 기술 향상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필요한 부분에 적시적인 인력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여전하다 할 수 있고, 훈련계획의 수립과 산업 여건의 변화에 따른 훈련정책 방향의 설정 또한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손꼽히고 있는 SW 산업의 변화와 정책적 상황을 고려하여 부족한 기술 수준의 SW 인력 양성을 위해 직업훈련의 개편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ICT industry has been a major industry in Korea 's economic growth since the mid ...

Extracted data

We use cookies to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