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훈련의 최종 목표는 교육훈련 이수자가 교육훈련을 통해 배운 내용을 직무현장으로 돌아가 실제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데 있다. 교육훈련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교육훈련 이수자가 일터로 돌아가 적용하지 않는다면 교육훈련 참여의 의미가 없으므로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는 교육훈련 결과의 유효성(effectiveness)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기업 현장에서는 교육훈련의 실시 그 자체에 노력을 기울이는 반면, 근로자들이 교육훈련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능 등 업무현장에서 어느 정도로 적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 of training)’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쏟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부에서도 정부 지원 사업으로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 실시를 지원하고 있으나, 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 또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원과 관심은 부족한 상황이다. 기업의 근로자 교육훈련에 대한 시간적·재정적 투자가 헛되지 않고 근로자 직무능력향상 및 조직의 성과 향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전이의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전이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교육훈련 전이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전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To address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literature on transfer of learning. Sec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