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방법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성장 및 발전과정을 사회적 기업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의 인력양성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이 발전한 주요국의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 양성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 전문가 협의 및 FGI 등을 실시하여 사회적 기업가 인력양성의 문제점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사회적 기업이 먼저 발전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이 나아갈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쟁력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제대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할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데, 이러한 사회적 기업가 인력양성에 대한 표준모델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적 기업 특성에 맞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과정 및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관련 부처의 지원 대책 및 정책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history of social enterprises is very short in South Korea. However,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