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가 미래지식사회에 대비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핵심 과학기술인재 양성 정책이 어느 목표를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책적 제언을 도출함에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미래지식사회에서의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에 대한 정의 및 범위를 정립하는 것이다. 둘째는 과학기술분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대내외 환경변화하에서 현재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및 핵심인재 양성의 위치와 문제점 등에 대해 SWOT분석을 실시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 양성의 기본 방향 및 전략을 제시한다. 셋째는 상기 양성 방향에 터해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의 역할, 산학협력의 역할, 그리고 R&D와의 연계 등을 주요 내용으로 각각의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한다.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체계 3 제3절 연구 방법 4 제4절 보고서의 구성 6 제2장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의 정의 제1절 과학기술분야의 범위 9 제2절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의 정의 10 1. 정책적 접근: 이공계 기피 문제로부터 출발 11 2. 기업측면에서의 접근 16 3. 본 연구에서의 과학기술분야 핵심인재의 정의 및 범위 18 제3장 과학기술분야의 환경 변화 제1절 과학기술변화 추세와 정책환경의 변화 25 1. 성장 동력으로서의 과학기술: 국제적으로 정책 우선순위 급증 25 2. 과학기술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