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목적은 우선 중국의 직업기술교육에 대한 이해에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간 중국과의 소원한 관계로 인하여 교류가 단절되었다가 최근에 관계가 개선?강화되면서 각 영역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등소평 집권기까지 사회변동에 따른 직업교육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사회주의국가의 직업교육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직업교육의 발전 경험에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부차적인 목적으로 같은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고 있는 북한의 직업교육을 파악하기 위한 전 단계로써의 의미도 있다. 연구방법과 대상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일차적인 자료와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분석방법을 채택한다. 동시에 법?제도적인 접근법(legal-institutional approach)과 역사적인 접근법(historical approach)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중국의 직업기술교육은 사회변동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사회변동의 주요 변수 이한빈(1968)은 사회변동의 종류를 다음과 같은 요인을 들고 있다. ① 인구변동-인구폭발, 인구의 이동, 인구의 질적 변동 ② 사회문화적 변동-교육의 보급과 문맹퇴치, 민족문화의 부흥과 고유문자의 보급, 농지개혁, 군대의 확장, 도시화, 대가족제도의 붕괴 등 ③ 사상적 변동-민족주의, 평등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군국주의, 자유주의 등 ④ 기술적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