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대학 경영학과,2019. 8. 최진남.동기 성향 이론(motive disposition theory, MDT)과 자기 일치 모형(self-concordance model)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 (성취 지향성, 관계 지향성, 영향력 지향성)가 개인의 혁신적, 개량적 창의성을 촉진하는 요인임을 밝혀낸다. 나아가, 사회적 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 SET) 및 상호 호혜의 규범(norm of reciprocity)에 따라서, 지식 공유 행위와 지식을 전달받는 행위를 포함하는 종업원 지식 관리 행동(knowledge management behaviors, KMBs)이, 서로 다른 개인의 심리적 욕구의 차원과 두가지 형태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성 활성화 이론(trait activation theory, TAT)의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팀 내 지식의 가치 중요성(value importance of knowledge)이 개인의 심리적 욕구-지식 관리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델과 가설은 한국의 리더 75명과 그들이 관리하는 209명의 구성원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되었다. 분석 결과, 세가지 심리적 욕구 가운데, 성취 지향성이 혁신적 창의성과 개량적 창의성 모두를 높이는 유의한 예측변수임이 확인되었다. 관계 지향성은 개량적 창의성에 양적인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