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생물전공), 2018. 8. 김희백.과학적 모형 구성은 특정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 체계를 사회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써 최근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초등학생들은 탐구의 일환인 과학적 모형 구성에서 인지적 과정뿐만 아니라 여러 인식적 감정들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적 모형 구성 중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과정에 의해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였고 이것이 인지적 과정과 어떻게 얽혀져 모형 발달에 기여하였는지 탐색하였다. 첫째로 과학적 모형 구성에서 제한적인 참여에 머무르고 있었던 내성적인 초등학생이 어떠한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 일지, 비디오 녹화본, 관찰 노트와 사후 인터뷰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초등학생이 구성한 인식적 감정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학생이 어떠한 감정을 구성하면서 제한적 참여에 머물렀는지와 어떠한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면서 참여할 수 있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내성적인 초등학생은 첫째, 아하라고 불리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하게 되면서 모형 생성 과정에 참여하였다. 둘째, 내성적인 초등학생은 상대방의 반박을 통해 추론의 잘못을 느낌이라는 인식적 감정을 구성했고, 이 감정 하에서 상대방의 반박을 수용하는 모형 수정 과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성적인 초등학생은 상대방의 감정적인 연속적 반박으로 지침이라는 감정을 구성하게 되면서 모형 구성에 제한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