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18. 2. 양승국.본 연구는 창작판소리의 창작 및 수용의 상호작용과 시대별 양상을 예술과 사회라는 렌즈를 통해 고찰하였다. 예술사회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창작판소리의 역사적 흐름을 살피고, 각 시대를 대표하는 5개 작품을 선정해 예술과 사회 간 공생과 대립 관계가 어떻게 작품세계에 투영되고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텍스트의 표면적인 양식이나 완성도 측면에 경도된 창작판소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전통판소리의 예술사회학적 담론을 창작판소리에까지 연장함으로써 시대와 호흡하는 예술장르로서의 정체성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재조명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창작판소리가 전통판소리로부터 분화해 자체적으로 나름의 구도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문화의 다이아몬드를 통해 살펴보았다. 예술작품과 사회, 예술가와 소비자 등 네 개의 점으로 연결된 다이아몬드는 예술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모형이자 메타포어로 생산과 소비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다. 생산적 관점에서는 예술의 핵심 주체인 소리꾼과 그를 둘러싼 판소리 예술계와 후원체계의 변동, 공유하는 관행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창작판소리는 낡은 제약을 깨뜨리고 혁신을 추구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1950〜1970년대 소수의 명창들이 물꼬를 텄고, 1970〜1990년대 지식인 출신의 예술가인 비가비(非甲)들이, 2000년대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