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6. 8. 김창엽.유연한 노동시장은 노동자들의 사회적 안전과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용형태의 증가로 이어짐으로써 불안정 고용(precarious employment)이라는 개념이 널리 쓰이고 있다(Benach et al, 2007). 보건학 영역에서도 불안정 고용이 대개 자발적으로 선택한 일부 고학력 전문직을 제외하고 노동자의 권리가 다양한 형태로 침해되는 특성을 보임으로써 불안정 고용을 정신건강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주목하고 있다(Benach, 2007). 그간의 국내연구에서는 정신건강에 대한 불안정 고용의 영향에 대해 고용 불안 혹은 정규 고용의 형태와 기준에서 벗어난 비정규직 고용이라는 단일 차원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왔다(Kim, 2006Kim, 2008Park, 2009Kim, 2012Kim, 2013Jang, 2015Min, 2015Yoo et al, 2016). 본 연구는 노동자의 정신건강은 불안정 고용의 어느 특정한 단일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불안정 고용 환경 내에 있는 여러 위험요인들로부터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수의 위험요인을 조사하여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였다(Rodgers, 1989Laparra et al, 2004Tompa, 2007Lewchuk et al, 2008Underhill et al, 2011Vives et al, 2011Puig-Barrachina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