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국문학 전공, 2013. 2. 조남현.▣ 국문초록 본고는 1910년대 근대문학의 형성과정과 신문관(新文館)의 문학 기획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무정(無情)』 초판의 발행소이자 3․1운동 관련 주요 인사들의 집결지였던 신문관은 이름 그대로 신문(新文)을 만들어 낸 곳으로 평가받는다. 식민지 시기 민족운동과 문학 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진 장소라는 점에서, 신문관이 생산한 문학에 대한 평가는 근대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은 물론 정치와 문학의 역학관계를 짚어보는 일과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1910년대 신문관 활동의 궤적은 그 참여인사의 다양한 면면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표면화된 것만으로 실체화하기 어렵다. 각각의 참여인사는 신문관의 안팎에서 또 다른 입장들과 서로 대립하고 협력한다. 신문관의 문학 생산은 넓게 보아 신문관 출판 활동의 일부이자 1910년대 근대문학의 일부로서 여타 출판물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졌을 터인데, 그간 이러한 관련성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낱낱의 실체가 아닌 참여자들의 상이성과 그들이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의 망은, 그 자체가 곧 신문관의 존재를 증명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신문관의 문학이 자신들이 생산한 다른 분야 출판물과의 관계 속에서 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학을 포함한 신문관의 서적들은 동시대의 다른 서적들과 교감하면서 생산되었다. 따라서 신문관의 문학 기획을 살피기 위해서는 신문관 뿐 아니라 이들이 몸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