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득불평등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는 내적인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득 불평등의 인식을 구성하는 세 요소로 구분하였다. 소득 불평등의 현수준, 정당한 소득불평등의 수준, 소득불평등의 주관적 평가가 그것이다. 소득불평등의 주관적 평가는소득 불평등의 현 수준과정당한 소득불평등 수준의 대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즉 한 사람이 인식하는 소득 불평등의 현 수준이 그가 생각하는 정당한 소득 불평등 수준보다 크게 높을 경우 현재의 소득불평등이 지나치게 크다고 평가할 것이며, 반대의 경우 소득불평등이 지나치게 크지 않다고 평가할 것이다. 이러한 가정은 분석을 통해 지지되었다. 한편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소득 불평등의 현 수준을 높게 인식하며, 정당한 소득 불평등 수준 또한 높게 설정한다. 본 연구의 불평등 인식 모델을 적용하여 부자와 빈자의 소득 불평등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 부자들이 현재의 소득 불평등 수준이 높다고 인식함에도 소득 불평등에 대해 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그들이 생각하는 정당한 소득 불평등 수준이 다른 사람들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ttitudes towards income inequality partly result from a rational calculation based on reality perception, in which self-interest intervenes. ...
近年,我が国では所得格差の拡大の有無やその是非が大きな議論の的となっている.しかし,格差の動向については所得調査によって異なる結論が導かれている.本稿では各種の所得調査から導かれる格差やその動向の違い...
사회적 형평성이 행정의 주요이념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이념의 이론적 근거는 취약하다. 행정학계에서는 Rawls의 정의론에 절대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이념이 가지고 있는 매...
[[abstract]]文獻上指出,評斷分配公平與否的原則大致有三,分別是公正原則、平等原則、與需求原則。而人們運用那一原則以衡量公平,會受到個人特質、資源類型、所屬社群關係、以及不同的社會文化所影響...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국가의 정책 영역별 지출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지국가 정책 영역을 네 가지로 나누고 2000년 이후 OECD 회원국을 대상...
橘木(1998)の日本の所得格差についての見解に対して,多数の研究者が統計の利用の仕方に問題があり適当でないと指摘した.しかしながら,不平等度の比較に際して焦点となった,利用する統計データ毎になぜ計測...
행복의 결정요인은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Easterlin이 40년 전 ‘East...
本文使用目前最新之所得分布不均資料庫,探索何為影響所得分布之重要因素,並透過 Panel Data 固定效果進行分析。在回歸式中,我們藉由放入每個解釋變數與虛擬變數之交乘項,直接對於高所得國家與低所得...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간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률 변화를 소득불평등과 제도 및거버넌스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생산요소 관점에서 접근한데 비해본 연구는 시장경제로...
우리나라 소득불평등에 관한 논의가 근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분석대상과 방식, 불평등지수에 초점을 맞춰 기존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재평가하고 이슈를 재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최고 임금과 최저 임금 간의 격차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이 생각하는 공정한 임금격차의 크기는 평균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전문대 및 대학 졸업생 경제활동상태 추적조사」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서열화와 노동시장 성과간의 관계를 지방대 졸업생에 대한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6개국의 포괄소득을 연령별로 측정한 후, 이를 가처분소득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소득``과 ``지불할 수 있...
많은 기존 연구들이 불평등을 행복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어떤 메커니 즘을 통해 불평등이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本文综述了近年来收入不均等影响经济增长及其途径的相关研究文献。其中,政治经济不稳定模型、资本市场不完美模型和消费需求模型等理论假说关注的是收入不均等是否对经济增长有害,强调了收入分配对物质资本积累进而...
本文回顾了近年来关于收入不均等与健康关系的研究文献并作了简评。早期经济学家运用总体数据研究了收入及收入不均等与健康之间的关系,重点关注的是绝对收入与健康之间的关系,即增加收入可使个人购买数量更多、质量...
近年,我が国では所得格差の拡大の有無やその是非が大きな議論の的となっている.しかし,格差の動向については所得調査によって異なる結論が導かれている.本稿では各種の所得調査から導かれる格差やその動向の違い...
사회적 형평성이 행정의 주요이념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이념의 이론적 근거는 취약하다. 행정학계에서는 Rawls의 정의론에 절대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이념이 가지고 있는 매...
[[abstract]]文獻上指出,評斷分配公平與否的原則大致有三,分別是公正原則、平等原則、與需求原則。而人們運用那一原則以衡量公平,會受到個人特質、資源類型、所屬社群關係、以及不同的社會文化所影響...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국가의 정책 영역별 지출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지국가 정책 영역을 네 가지로 나누고 2000년 이후 OECD 회원국을 대상...
橘木(1998)の日本の所得格差についての見解に対して,多数の研究者が統計の利用の仕方に問題があり適当でないと指摘した.しかしながら,不平等度の比較に際して焦点となった,利用する統計データ毎になぜ計測...
행복의 결정요인은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Easterlin이 40년 전 ‘East...
本文使用目前最新之所得分布不均資料庫,探索何為影響所得分布之重要因素,並透過 Panel Data 固定效果進行分析。在回歸式中,我們藉由放入每個解釋變數與虛擬變數之交乘項,直接對於高所得國家與低所得...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간 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률 변화를 소득불평등과 제도 및거버넌스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생산요소 관점에서 접근한데 비해본 연구는 시장경제로...
우리나라 소득불평등에 관한 논의가 근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분석대상과 방식, 불평등지수에 초점을 맞춰 기존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재평가하고 이슈를 재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최고 임금과 최저 임금 간의 격차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이 생각하는 공정한 임금격차의 크기는 평균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전문대 및 대학 졸업생 경제활동상태 추적조사」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서열화와 노동시장 성과간의 관계를 지방대 졸업생에 대한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6개국의 포괄소득을 연령별로 측정한 후, 이를 가처분소득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소득``과 ``지불할 수 있...
많은 기존 연구들이 불평등을 행복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어떤 메커니 즘을 통해 불평등이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本文综述了近年来收入不均等影响经济增长及其途径的相关研究文献。其中,政治经济不稳定模型、资本市场不完美模型和消费需求模型等理论假说关注的是收入不均等是否对经济增长有害,强调了收入分配对物质资本积累进而...
本文回顾了近年来关于收入不均等与健康关系的研究文献并作了简评。早期经济学家运用总体数据研究了收入及收入不均等与健康之间的关系,重点关注的是绝对收入与健康之间的关系,即增加收入可使个人购买数量更多、质量...
近年,我が国では所得格差の拡大の有無やその是非が大きな議論の的となっている.しかし,格差の動向については所得調査によって異なる結論が導かれている.本稿では各種の所得調査から導かれる格差やその動向の違い...
사회적 형평성이 행정의 주요이념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이념의 이론적 근거는 취약하다. 행정학계에서는 Rawls의 정의론에 절대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이념이 가지고 있는 매...
[[abstract]]文獻上指出,評斷分配公平與否的原則大致有三,分別是公正原則、平等原則、與需求原則。而人們運用那一原則以衡量公平,會受到個人特質、資源類型、所屬社群關係、以及不同的社會文化所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