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을 식민지화한 식민모국으로서 일본이 지닌 모순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근대건축 도입초기를 중심으로 그를 둘러싼 갈등과 경합, 타협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식민모국으로서 일본을 고찰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서구의 영향에 대한 고려를 동반하며, 일본이 서구와 맺었던 특수한 관계 또한 식민지적 상황이라는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목조로 지어져 화재에 약했던 전통건축물의 특성으로 인해 근대 건축은 큰 저항 없이 일본의 경관 속에 등장할 수 있었고, 평범한 일본인이 문명개화라는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초기 근대 건축은 1) 의양풍 건축, 2) 중간단계, 3) 외국인 건축가에 의한 오리엔탈리즘적 건축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 각각 그 대표적인 건축물로 제일국립은행, 긴자 렌가가이, 로쿠메이칸을 분석한다. 의양풍 건축은 일본의 전통식 장인이 서양의 건물을 흉내내 만든 것으로 화양절충이긴 했으나 근대 초기 일본인들에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정도로 일본적이었다. 이후 등장한 긴자 렌가가이는 최초의 근대식 도시계획으로 외국인이 설계, 기획했으나 벽돌로 만들어진 동남아의 식민지 스타일에 대해 일본인들은 이를 일본화하는 방식으로 적응하였다. 로쿠메이칸은 구화주의를 신봉하던 메이지 정부에 의해 외국인 건축가에 의한 본격적인 서양식 건축물로 지어졌으나 그 내부를 살펴보면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 혼성적 건축물이다. 이런 관점에서 일본 초기 근대 건축의 영향을 받아 지어진 식민지 시기 한국 근대 건축은 일본이 지은 ...
필자는 최근 몇 년 기간에 일어난 국제정치질서 변화의 본질과 성격을 몇 가지 이슈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들이 대한민국의 대외정책에 어떠한 과제를 던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었던 중국식 분권화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90년대 이후 주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분권화 개혁의 딜레마를 지방정부의...
전후 일본의 사회운동에서 생활은 체제에 대한 비판적・저항적 의미를 지니는 전략적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 말이 대부분 정당의 정치적 슬로건에 등장하는 한...
이 글에서는 일본영화가 재해를 어떻게 포착/표상해 왔는가에 주목하여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을 「고지라」 시리즈와 「일본 침몰」(1973, 2006), 「일본 이외 모두 침몰」...
이 글에서는 현재 일본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소토코모리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소토코모리는 일본 밖, 특히 아시아로 나가 은둔(진성 소토코모리)하거...
일본은 최근 국립대학의 개혁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국립대학 개혁 사례인 국립대학의 법인화, 국립대학간 통․폐합, 국립 교원양성과정의 통․폐합'에 대...
이 글은 일종의 표현의 금기인 천황에 대해 전후 일본문학과 전후 오키나와문학이 각각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고찰한 것이다. 전후민주주의와 초국가주의가 혼재하는 본토의 양상과 그와는 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일동포들은 높은 법적 · 제도적 차별 장벽과 극심한 사회적 · 경제적 차별 속에서 에스닉 공동체의 정보를 축적 · 배분하는 등 에스닉 경제의 이점을 최대한 ...
산미증식계획 가운데에서도 특히 水利組合사업에 대하여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이유는 식민지 조선에서 산업정책의 중심이 산미증식계획이었고 그 계획의 중심이 水利組合사...
2001년 후소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가 검정을 신청하면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이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논쟁이 후소샤의 교과서만을 중심으...
본 논문은 21세기 신흥대국 중국의 변화하는 외교정책을 인접지역인 동남아시아와의 지역협력 특히 메콩강유역개발사업을 통해 분석한다.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경제적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1990년대 이후 일본 건축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으로 작은 집 열풍을 들 수 있다. 일본 주택의 독특하고 실험적인 주택 디자인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현상으로 여겨지...
본 논문은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와 독일 자유 베를린 대학교 공동 주최로 베를린장벽 붕괴 20년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교훈이라는 주제로 2009년 9월 10일-11일 사이에 고려대학...
일본의 평화연구는 한편으로 한반도라는 일본의 평화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대상에 그다지 깊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일본의 한반도 연구는 평화라는 가치에 관해 ...
전체 인구 대비 거주 외국인의 비율(2.8%, 2012년 1월 현재, 안전행 정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입 이민자들의 수간 단기간에 급증하고 외모·언어의 차이로 인...
필자는 최근 몇 년 기간에 일어난 국제정치질서 변화의 본질과 성격을 몇 가지 이슈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들이 대한민국의 대외정책에 어떠한 과제를 던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었던 중국식 분권화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90년대 이후 주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분권화 개혁의 딜레마를 지방정부의...
전후 일본의 사회운동에서 생활은 체제에 대한 비판적・저항적 의미를 지니는 전략적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 말이 대부분 정당의 정치적 슬로건에 등장하는 한...
이 글에서는 일본영화가 재해를 어떻게 포착/표상해 왔는가에 주목하여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을 「고지라」 시리즈와 「일본 침몰」(1973, 2006), 「일본 이외 모두 침몰」...
이 글에서는 현재 일본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소토코모리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소토코모리는 일본 밖, 특히 아시아로 나가 은둔(진성 소토코모리)하거...
일본은 최근 국립대학의 개혁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국립대학 개혁 사례인 국립대학의 법인화, 국립대학간 통․폐합, 국립 교원양성과정의 통․폐합'에 대...
이 글은 일종의 표현의 금기인 천황에 대해 전후 일본문학과 전후 오키나와문학이 각각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고찰한 것이다. 전후민주주의와 초국가주의가 혼재하는 본토의 양상과 그와는 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일동포들은 높은 법적 · 제도적 차별 장벽과 극심한 사회적 · 경제적 차별 속에서 에스닉 공동체의 정보를 축적 · 배분하는 등 에스닉 경제의 이점을 최대한 ...
산미증식계획 가운데에서도 특히 水利組合사업에 대하여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이유는 식민지 조선에서 산업정책의 중심이 산미증식계획이었고 그 계획의 중심이 水利組合사...
2001년 후소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가 검정을 신청하면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이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논쟁이 후소샤의 교과서만을 중심으...
본 논문은 21세기 신흥대국 중국의 변화하는 외교정책을 인접지역인 동남아시아와의 지역협력 특히 메콩강유역개발사업을 통해 분석한다.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경제적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1990년대 이후 일본 건축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으로 작은 집 열풍을 들 수 있다. 일본 주택의 독특하고 실험적인 주택 디자인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현상으로 여겨지...
본 논문은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와 독일 자유 베를린 대학교 공동 주최로 베를린장벽 붕괴 20년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교훈이라는 주제로 2009년 9월 10일-11일 사이에 고려대학...
일본의 평화연구는 한편으로 한반도라는 일본의 평화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대상에 그다지 깊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일본의 한반도 연구는 평화라는 가치에 관해 ...
전체 인구 대비 거주 외국인의 비율(2.8%, 2012년 1월 현재, 안전행 정부)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입 이민자들의 수간 단기간에 급증하고 외모·언어의 차이로 인...
필자는 최근 몇 년 기간에 일어난 국제정치질서 변화의 본질과 성격을 몇 가지 이슈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들이 대한민국의 대외정책에 어떠한 과제를 던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중국경제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었던 중국식 분권화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90년대 이후 주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분권화 개혁의 딜레마를 지방정부의...
전후 일본의 사회운동에서 생활은 체제에 대한 비판적・저항적 의미를 지니는 전략적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 말이 대부분 정당의 정치적 슬로건에 등장하는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