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한국 무속연구는 사회학적인 시각에서 사회의 신앙 현상을 살펴보는 관점, 인류학적인 시각에서 인류의 문화 양상을 살펴보는 관점, 민속학적인 시각에서 민족문화운동과 더불어 전통문화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것을 민족적인 연극 • 음악 • 무용 • 미술 • 축제 등과 비교하는 관점 등을 가지고 연구되어 왔다. 한편, 무속신앙이 불교와 비교 연구되어 온 것은 무불습합의 실체를 무속 쪽에서 파악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근래에 일부이지만 개신교 신학자들에 의해 이것을 개신교와 비교 연구하는 데까지 왔다. 교육철학으로써 한국인의 세계관, 우주관, 그리고 인생관을 무속사상에서 찾으려는 연구자도 생겨났다. 심리학적이고 정신의학적인 접근의 연구 결과는 강신무당들이 입무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앓고 있는 신병을 더욱 합리화시키는 결론을 낳게 되었다. 무속신앙의 구비문학적인 연구와 역사학적인 연구는 오래된 전통이다. 국문학자들에 의한 문학적인 접근으로써의 무속연구는 조선시대의 한문 문화가 지니는 한민족 전통문화의 실체파악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60~70%에 해당하는 문맹의 민중들이 누렸던 구비전승에 중요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역사학적인 문헌고증학적 연구는 고대사회의 종교구조를 파악하는데 일조하였다. 이렇듯 무속연구는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한 다각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오면서 80년대에 들어서서는 불구하고 무속연구의 총체적인 종합적 논의와 검토가 시도 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