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전반기 즉 17세기까지의 조선왕조실록에는 여진족에 대한 기록이 매우 자주 나타난다. 그들은 조선인의 생명과 재산을 늘 위협하는 존재였으므로 그들의 동정 파악을 위해 눈을 떼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여진족은 한 무리의 씨족이 아니라 여러 족류가 공존하고 있었으므로 이들의 관계나 신분을 올바로 파악하는 것은 이들의 요구나 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기록 가운데에서 매우 특이한 표기로 기록된 한 여진족 추장의 인명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 추장의 이름은 "하질이(何叱耳)"이다. 이는 만주어 /hashū/를 표기한 것인데 이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사실을 논의하면서 그의 이름을 나타낸 여러 표기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 글은 실록에 나타난 인명의 이표기를 논의하는 글이지만 아래에서는 언어학적 설명보다는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그 이유는 실록이라는 텍스트의 특성에 기인한다. In this paper a transcription of the name of a Jurchen chieftain is discussed. All proper names of the Jurchens including personal names are recorded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m are written using...
조선문인들의 연행 체험은 연행록 이라는 특정한 양식의 문학 작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송되고 서로 소통되면서 향유되어 왔다. 즉, 연행록을 통해 당대의 조선문인들은 연행을 간접 ...
본 연구는 선조-인조대(1567-1649) 문과정시의 시행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선조-인조대 문과정시는 국방의 위기와 관련하여 주로 무과의 ...
조선에서는 도시화가 매우 지체되었다. 조선은 같은 시기 전세계의 인구정착지역 중 도시화가 가장 지체된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국토공간 상의 인구밀도는 상대적으로 조밀했다고 볼 수 있...
1.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제조제의 형성과 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에서는 태조대부터 제조제를 시행하였다. 태조대의 제조제는 행정기구를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2. 태...
조선시대 有旨는 국왕의 명령을 지방에 있는 관원에게 전달할 때에 승정원에서 발급한 문서이다. 1443년(세종 25)에 내전소식이 유서와 유지로 기능이 분화되면서 유지가 시행되었고,...
본고는 세종조에 편찬․간행된 관찬 역사서 중 『자치통감사정전훈의』를 대상으로 그 주해 방식 및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는 사정전훈의의 편찬 과정, 호삼성 『음...
서양 전쟁사학자들은 전쟁에 대하여 다년간의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전쟁사의 학문적 역량을 발전시켜 왔다. 실증주의에 입각한 전쟁의 복원이라는 새로운 틀을 시작으로 전쟁을 통하여 사...
요약문 정도전은조선왕조창업의실질적공헌자로평가된다. 그러나그의공은단지개국한것에만머물지않고나아가조선왕조가이후 500년간지속될수있는터전을제공한데에있다고보는것이이글의논점이다. 기존의한국...
역사화(歷史畵)란 중요한 의미가 있거나 기념할 만한 역사상의 사건·사실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그림을 말한다. 자연히 여가화는 사실성과 기록성을 일차적인 특성으로 하게 된다. 또 역사...
『新增東國輿地勝覽』은 記文․題詠 등을 여타 항목과 함께 유의한 반면에 『輿地圖書』는 『세종실록지리지』를 전범으로 삼아 통치자료[治道] 차원에서 方里, 賦稅, 堤堰을 비롯한 각종 정...
이하 수록된 다섯 편의 논문은 2009년 11월 12일~13일에 걸쳐 규장각에서 열린 국제워크숍(19세기 조선 사회의 역사성과 정체성 : 역사 지표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에서 발표...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산수유람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을까? 산수유람은 이들에게 호연지기를 기르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문학창작의 산실이 되기도 했다. 또 문인들은 산수유람을 통해...
본 논문은 스콧 쏨즈가 그의 책 에서 부분적으로 기술적인 이름(예를 들어, 정인교 교수, 이순신 장군, 경상북도 상주시, 이화여자대학교 등)이라고 부른 표현들이 어떤 근거에서 이...
함경도는 有史이래 古土로 인식하였으나 오랫동안 온전한 영토로 삼지는 못하였다. 고려 睿宗代 東北 9城을 축조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영구히 지배하지는 못하였다. 북방영토는 변동성이 매...
13-14세기, 몽골제국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고려군주권은 상당부분 손상되고 약화되었다. 공민왕대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에 조응하면서 이렇게 손상, 약화된 고려군주권의 재...
조선문인들의 연행 체험은 연행록 이라는 특정한 양식의 문학 작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송되고 서로 소통되면서 향유되어 왔다. 즉, 연행록을 통해 당대의 조선문인들은 연행을 간접 ...
본 연구는 선조-인조대(1567-1649) 문과정시의 시행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선조-인조대 문과정시는 국방의 위기와 관련하여 주로 무과의 ...
조선에서는 도시화가 매우 지체되었다. 조선은 같은 시기 전세계의 인구정착지역 중 도시화가 가장 지체된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국토공간 상의 인구밀도는 상대적으로 조밀했다고 볼 수 있...
1.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제조제의 형성과 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에서는 태조대부터 제조제를 시행하였다. 태조대의 제조제는 행정기구를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2. 태...
조선시대 有旨는 국왕의 명령을 지방에 있는 관원에게 전달할 때에 승정원에서 발급한 문서이다. 1443년(세종 25)에 내전소식이 유서와 유지로 기능이 분화되면서 유지가 시행되었고,...
본고는 세종조에 편찬․간행된 관찬 역사서 중 『자치통감사정전훈의』를 대상으로 그 주해 방식 및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는 사정전훈의의 편찬 과정, 호삼성 『음...
서양 전쟁사학자들은 전쟁에 대하여 다년간의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전쟁사의 학문적 역량을 발전시켜 왔다. 실증주의에 입각한 전쟁의 복원이라는 새로운 틀을 시작으로 전쟁을 통하여 사...
요약문 정도전은조선왕조창업의실질적공헌자로평가된다. 그러나그의공은단지개국한것에만머물지않고나아가조선왕조가이후 500년간지속될수있는터전을제공한데에있다고보는것이이글의논점이다. 기존의한국...
역사화(歷史畵)란 중요한 의미가 있거나 기념할 만한 역사상의 사건·사실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그림을 말한다. 자연히 여가화는 사실성과 기록성을 일차적인 특성으로 하게 된다. 또 역사...
『新增東國輿地勝覽』은 記文․題詠 등을 여타 항목과 함께 유의한 반면에 『輿地圖書』는 『세종실록지리지』를 전범으로 삼아 통치자료[治道] 차원에서 方里, 賦稅, 堤堰을 비롯한 각종 정...
이하 수록된 다섯 편의 논문은 2009년 11월 12일~13일에 걸쳐 규장각에서 열린 국제워크숍(19세기 조선 사회의 역사성과 정체성 : 역사 지표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에서 발표...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산수유람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을까? 산수유람은 이들에게 호연지기를 기르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문학창작의 산실이 되기도 했다. 또 문인들은 산수유람을 통해...
본 논문은 스콧 쏨즈가 그의 책 에서 부분적으로 기술적인 이름(예를 들어, 정인교 교수, 이순신 장군, 경상북도 상주시, 이화여자대학교 등)이라고 부른 표현들이 어떤 근거에서 이...
함경도는 有史이래 古土로 인식하였으나 오랫동안 온전한 영토로 삼지는 못하였다. 고려 睿宗代 東北 9城을 축조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영구히 지배하지는 못하였다. 북방영토는 변동성이 매...
13-14세기, 몽골제국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에서 고려군주권은 상당부분 손상되고 약화되었다. 공민왕대는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에 조응하면서 이렇게 손상, 약화된 고려군주권의 재...
조선문인들의 연행 체험은 연행록 이라는 특정한 양식의 문학 작품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송되고 서로 소통되면서 향유되어 왔다. 즉, 연행록을 통해 당대의 조선문인들은 연행을 간접 ...
본 연구는 선조-인조대(1567-1649) 문과정시의 시행을 검토함으로써 그 제도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선조-인조대 문과정시는 국방의 위기와 관련하여 주로 무과의 ...
조선에서는 도시화가 매우 지체되었다. 조선은 같은 시기 전세계의 인구정착지역 중 도시화가 가장 지체된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국토공간 상의 인구밀도는 상대적으로 조밀했다고 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