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과/박사[한글] 치아 교정 및 악교정 수술 분야에서 두개안면 골격 형태의 진단 및 치료평가에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입체적인 구조물을 평면적으로 나타냄으로 인해 평가시 정확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은 입체적인 상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임상을 위해서는 치료 결과의 평가와 치료 전후의 비교 분석이 필요하며 따라서 수술 전에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을 하여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워 수술한 환자는 수술 후에도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을 하여 수술 전후를 입체적으로 평가한다면 더욱 정확한 비교와 평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좌표계로부터의 정상치에 대한 표준화된 연구 결과가 없어 임상에 적용하기 어렵고 또한 고가의 장비 및 비용과 방사선 피폭량 등의 문제로 인해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3차원 전산화 단층상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저자는 악교정 수술 전후의 후전방 및 측방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에서의 변화를 악교정 수술 전의 3차원 전산화 단층상에 적용하여 모의 조종된 3차원상을 얻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 보았고 이 방법을 검증하고자 악교정 수술을 가상하여 하악골의 위치를 변화시킨 건조 두개골의 4 가지 경우와 악교정 수술을 받은 4 명의 환자에 적용하여 보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위치를 달리하고 시행된 건조 두개골의 4 가지 경우에서 하악골의 위치 변화 전후의 후전방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