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는 충분한 자아성찰 및 진로탐색을 통해 성인기 이후까지 이어지는 긍정적자아 발달의 중요한 시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성인기로 이행하면서 경험하는 자아정체감의 변화 궤적을 분석하고, 변화 궤적에 따른 집단별 구분을 통해 초기 청소년기 진로결정수준과 대학 입학 후 대학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가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에 따른 집단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종단자료인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중학교 3학년 코호트의 1차, 4차, 7차, 10차년도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결과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에 따라 크게 "고수준 상승집단", "지속 하락집단", "평균수준상승집단", "저수준 상승집단","저수준 지속집단"의 5개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카이제곱검정과 분산분석 결과 각 집단 별로 중학교 3학년 때의 진로결정수준, 그리고 대학교 1학년 때의 대학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때의 진로결정수준과 대학교 1학년 때의 전공 만족도가 자아정체감 변화 궤적 집단 결정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적 차원에서 청소년 유형별로 적합한 진로탐색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자아정체감 및 진로탐색능력 향상의 열쇠임을 시사한다.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Korean adolescents' self identity formation and to analyze whether...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성, 계열, 지역, 부모학력, 가구월평균소득), 가정환경 요인(부모애착, 가족관계), 학교환경요인(선생님애착, 학교...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생 가운데 교육․의약계열을 제외하고, 국가자격, 민간자격, 국제자격 보유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년증가에 따른 교육포부 변화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직업가치 추구의 특성과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청소년 진로교육에 있어 직업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추구하는 ...
본 연구는 중학생 가정에서의 진로교육에 주목하여, 부모-자녀 간 희망 진로 일치, 즉 자녀 희망 진로에 대한 부모의 지지가 학생의 학습 경험과 진로발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나타나는 진로성숙의 변화가 어떤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입학 전인 고...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명하는 것이다. 이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 수행능력과 관련된 진로탐색효능감과 직무조건에 대처준비도인 진로적응성과 영향·예측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의 책임감, ...
최근 우리 사회의 진로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진로교육 및 진로개발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정책 시행이 학령기 청소년에 초점을 두...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 수행능력과 관련된 진로탐색효능감과 직무조건에 대처준비도인 진로적응성과 영향․예측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의 책임감,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심을 두고, “이들 변수들이 청소년들의 진로결정수준...
이 연구는 대졸 청년층이 대학 재학을 전후로 경험한 일련의 진로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춰, 대학 재학 중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 경험, 능력개발, 그리고 취업 후 주관적 만족과의 관계...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성, 계열, 지역, 부모학력, 가구월평균소득), 가정환경 요인(부모애착, 가족관계), 학교환경요인(선생님애착, 학교...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생 가운데 교육․의약계열을 제외하고, 국가자격, 민간자격, 국제자격 보유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년증가에 따른 교육포부 변화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는 5년간 직업결정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밝혀진 잠재계층별로 대학 4년간의 진로고민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 고등학교 3학년의 진로특성을 통해 잠재계층을 예...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직업가치 추구의 특성과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청소년 진로교육에 있어 직업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추구하는 ...
본 연구는 중학생 가정에서의 진로교육에 주목하여, 부모-자녀 간 희망 진로 일치, 즉 자녀 희망 진로에 대한 부모의 지지가 학생의 학습 경험과 진로발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 진학하면서 나타나는 진로성숙의 변화가 어떤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입학 전인 고...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유형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명하는 것이다. 이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 수행능력과 관련된 진로탐색효능감과 직무조건에 대처준비도인 진로적응성과 영향·예측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의 책임감, ...
최근 우리 사회의 진로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진로교육 및 진로개발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정책 시행이 학령기 청소년에 초점을 두...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 수행능력과 관련된 진로탐색효능감과 직무조건에 대처준비도인 진로적응성과 영향․예측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의 책임감,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심을 두고, “이들 변수들이 청소년들의 진로결정수준...
이 연구는 대졸 청년층이 대학 재학을 전후로 경험한 일련의 진로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춰, 대학 재학 중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 경험, 능력개발, 그리고 취업 후 주관적 만족과의 관계...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성, 계열, 지역, 부모학력, 가구월평균소득), 가정환경 요인(부모애착, 가족관계), 학교환경요인(선생님애착, 학교...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 졸업생 가운데 교육․의약계열을 제외하고, 국가자격, 민간자격, 국제자격 보유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른 조건이 같다...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